MTN NEWS
 

최신뉴스

잇따르는 ESS 화재에 원인 '미궁'…'신성장동력' ESS 산업 발목 잡나

 
박경민 기자

thumbnailstart

[앵커]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때 꺼내쓰는 에너지저장장치, ESS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데 화재사고 또한 잇따르고 있습니다.
올해만 15건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아직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지목된 ESS 산업이 안전문제에 발목이 잡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박경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
한 태양광 발전소에 함께 설치돼 있는 에너지저장시스템, ESS입니다.
낮 시간동안 생산한 전기를 저장해뒀다 필요할때 쓸 수 있는데 배터리를 비롯한 각종 설비가 빽빽합니다.

재생에너지 확대 등으로 지난해부터 보급이 늘면서 전국 곳곳에 약 1300기가 설치돼 있습니다.

문제는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화재발생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올 들어서만 15건의 화재가 났는데 아직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ESS는 배터리와 함께 전력변환장치(PCS), 운영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는데 어디서 불이 나기 시작한 건지 파악을 못하고 있습니다.

배터리와 PCS 제조사도 다른데다 친환경발전소나 공장 등 설치장소와 용도도 제각각이어서 특정한 공통점을 찾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당초 ESS 화재는 기온이 높은 5~9월에 집중되며 열에 약한 리튬이온배터리 문제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낮은 기온에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배터리 자체가 화재의 원인일 가능성이 낮아졌습니다

전문가들은 ESS가 배터리로만 구성된게 아니라 복합적인 설비와 전력계통이 연결돼 있는 발전설비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권창오 / 한국전기공사협회 팀장: ESS는 설치라기보다는 전기공사거든요. 한전 계통과도 연계가 있어야 하고 전원신뢰라든지 설비안전성 확보라든지 여러가지 문제가 검토가 돼야 하고 설계에 의해 시공이 돼야 하는 고도의 시공기술이 요구되는 전기공사인데..]

이런 가운데 정부는 최근 소형 ESS(PCS용량 250kW 이하)의 공공발주에 중소기업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정한 바 있습니다.

정부가 화재원인조차 밝히지 못한 점을 감안하면 중소기업 보호라는 명분때문에 안전성 확보가 뒷전으로 밀린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 규명 없이는 ESS를 신산업으로 육성하려던 정부의 계획에 심각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경민 기자 (pkm@mtn.co.kr)]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