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대기업도 못 버티는 면세점 사업…대책없이 늘린 정부, 왜 그럴까?

한화 이어 두산도 시내면세점 사업 포기
정부, 11월 시내면세점 5개 또 추가
김혜수 기자

두타면세점은 내년 4월 30일 영업을 종료한다


한화에 이어 두산 역시 시내면세점 특허권을 반납하기로 하면서 정부의 면세점 확대 정책이 갈길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지난 2015년 6개에 그쳤던 시내면세점 수는 올해 13개까지 늘어났다. 지난 달 폐점한 갤러리아63 면세점을 감안해도 면세점 수는 12개로 2배 증가했다.

2015년 당시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 방문을 활성화하고, 중소·중견 기업에도 면세점 사업 기회를 확대한다는 이유로 시내면세점 특허권을 발급해줬다.

당시만 해도 중국인 관광객 수가 급격히 늘어나 시내면세점이 수익성을 보장해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았다. 말 그대로 시내면세점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렸던 시절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기업은 물론 중소·중견기업도 너나할 것 없이 입찰에 뛰어들었다. 중공업 기업으로 유통사업 경험이 전혀 없는 두산도 입찰에 참여해 특허권을 따냈을 정도다.

하지만 상황은 급격히 달라졌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지난 2017년부터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그나마 중국 보따리상으로 불리는 따이공들이 시내면세점에서 국내 화장품 등을 대량으로 구매해 면세점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이런 따이공들을 유치하기 위한 제살 깎아먹기식 수수료 경쟁 탓에 면세점의 수익성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결국 이런 상황에 뒤늦게 면세점 사업에 뛰어든 대기업들마저 사업을 못 하겠다고 떠나고 있다. 벌써부터 한화와 두산에 이어 세번째 특허권 반납을 누가할지 업계의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시내면세점 추가 출점에 대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태다.

지난 4월 한화그룹이 3년간 누적적자가 1000억원이 넘는 면세점 사업을 접겠다고 밝힌 다음 달 서울 3개, 광주 1개, 인천 1개 등 총 5개의 시내면세점을 추가하겠다고 발표했다.

면세점 사업의 진입 장벽을 두지 않고 사업에 진입할 기업은 하고, 버티지 못 할 기업은 특허권을 반납하는 자율 경쟁 체제를 도입한다는 게 정부의 논리였다.

그러나 업계에선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지 않은 정부의 정책실패란 볼멘소리가 나온다.

대기업인 한화그룹의 갤러리아63면세점의 3년간 누적적자는 1000억원, 두산의 두타면세점의 같은 기간 누적적자는 600억원이 넘는 상황.

이렇게 대기업조차 사업을 제대로 꾸려갈 수 없는 상황에서 무조건 특허권만 남발하는 게 맞냐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면세점은 규모의 경제가 적용될 수 밖에 없는 대표적인 업종이라고 볼 수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 뒤늦게 면세점 사업에 뛰어들어 수수료 경쟁으로 제살 깎아먹기식 경쟁을 벌이게 되면 결국 버티지 못 하고 사업을 접을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권 입찰은 다음 달 중순 치러진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물론 롯데, 신라, 신세계면세점조차 이번 입찰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굳혔다. 신규 출점을 하기보다는 기존 사업장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더 이상 황금알을 낳지 못 하는 거위'가 된 시내면세점.

정부도 이런 상황을 직시해 대책없이 특허권만 남발하는 상황을 되풀이해선 안 될 일이다.

김혜수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