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단독]IPTV업계, 지상파 CPS 단계적 인상 수용...'2021년 500원' 유력

협상 막바지 단계...케이블TV·위성방송에도 동일 기준 적용 전망
서정근 기자

IPTV·케이블TV·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사업자가 지상파 방송을 소비자들에게 송출하는 대가로 지상파 3사에 제공하는 CPS(가입자당재송신료)가 단계적으로 인상, 2021년엔 500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같은 인상이 현실화하면 시청자 1인이 유료방송사에 납부하는 월 단위 요금 중 1500원이 지상파 3사에 제공된다.

지상파 채널의 시청률 저하로 콘텐츠 파워가 갈수록 감소하는 반면 CPS는 계속 오르고 있는데, 지상파가 CPS 인상을 통해 많은 돈을 가져갈 수록 유료방송사업자가 콘텐츠 제작 업체에 프로그램사용료로 지급할 수 있는 재원이 줄어든다. 나아가, 소비자 비용부담으로 전가될 수 있다.

협상력에서 우위에 있는 지상파3사의 이해에 가깝게 CPS가 산정되곤 했는데, 차제에 CPS 산출 기준과 산식(算式), 인상폭에 따른 근거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최근 면담을 갖고 지상파 CPS 등 유료방송 관련 현안을 공유한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사진 왼쪽)과 유정아 IPTV협회장

3일 유료방송업계의 한 관계자는 "IPTV 3사와 지상파 3사의 CPS 인상 협상이 막바지에 접어들어, 2019년 분 CPS를 460원으로 소급적용하고 2020년에는 480원, 2021년에는 500원으로 인상하는 안이 최종 채택될 것이 확실시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IPTV 가입자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지상파들이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과 먼저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협상이 최종 타결되면 케이블TV와 위성방송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표준가격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상파 CPS는 HD 가입자를 기준으로 2012년 280원이 첫 산정된 후 4년만인 2016년에 360원으로 인상됐다. 2017년엔 380원, 2018년에는 400원으로 인상된 바 있다. 지상파 3사의 연간 CPS 매출은 2018년 기준 3184억원에 달한다.

CPS 산정 기준과 그 적정성은 유료방송시장에서 오래동안 논란이 되어온 사안이다. 지상파 3사에 합당한 대가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나 그 대가산정의 기준과 산출 근거가 되는 '산식(算式)' 이 명확히 공개된 바 없기 때문이다.

한 때 방송 콘텐츠의 '전부'였던 지상파 콘텐츠가 다채널 시대를 맞아 그 효용이 급속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CPS는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상파3사는 한 때 CPS를 800원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엄포'를 놓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500원으로 인상을 제시해 왔는데 IPTV 3사가 이를 '시간차 인상'을 통해 사실상 수용하는 형국인 것이다.

통신이 주업이고 IPTV는 본업인 이동통신사들과 그렇지 않은 케이블TV 사업자들 간의 '온도차'도 존재한다는 평이다. CPS 인상에 따른 부담은 상대적으로 ARPU가 낮은 케이블TV 업체들에게 더 크게 와닿기 마련이다.

지상파 3사가 보유한 보도기능과 그 '파워'는 오너들이나 전문경영인 관련 리스크가 상존하는 이동통신사와의 협상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발휘한다는 평이다. 이같은 파워는 행정부나 입법부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CPS 협상이 난관에 봉착할 때마다 정부의 개입과 중재, 지상파 의무재송신 채널 확대를 요구해왔다.

정부는 "시장의 영역에 정부가 개입하는 '관치'는 부적절하다"며 거리를 뒀고, 지상파 의무재송신 채널 확대도 성사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케이블TV업계는 의무재송신 채널에 KBS1, EBS1뿐 아니라 KBS2, EBS2. MBC까지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IPTV업계도 KBS2, EBS2는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의무재송신 채널에 포함된 지상파 채널은 CPS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최근 최기영 장관과 면담한 김성진 케이블TV협회장과 유정아 IPTV 협회장도 이같은 입장을 최장관에게 전달했으나 최 장관이 관련해 구체적인 답을 내놓진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관계자는 "시장 성장이 한계에 달해 기업들간 M&A로 돌파구를 열어가려는 상황인데, 이런 형편에서 누군가가 파이를 크게 더 가져가게 되면 누군가는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며 "종편들도 CPS 형태로 대가를 가져가려 하고 거대 PP들도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에서 목소리를 높일텐데, 결국 종소 PP의 몫이 줄어들거나 소비자 가격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