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왜 나만 갖고 그래", DLF사태 후폭풍 일파만파

조정현 기자

thumbnailstart

[앵커멘트]
막대한 투자자 피해를 낳은 파생결합펀드, DLF 사태의 파장이 금융권을 흔들고 있습니다. 당국은 금융지주 회장 물러나라, 우리금융은 못 물러난다, 소송 하자, 이런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으면서 파장이 걷잡을 수 없게 됐습니다. 금융부 조정현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앵커1> 설마 은행이 금융감독원과 전면전을 하겠냐, 우리금융이 제재를 수용하면서 일단락되지 않겠냐, 이런 전망이 많았었는데, 이젠 전면전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독일 등의 선진국 국채 금리가 지속적으로 떨어지자 이를 기초자산으로 수익을 내는 DLF에 가입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은 게 이번 사태죠.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된 만큼 해당 DLF를 많이 판 금융사들이 금융감독원 중징계를 받아들이지 않겠느냐, 이런 예상이 지배적이었지만 실제는 달랐습니다.

우리은행장을 겸직하는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과 하나은행장이었던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이 더 이상 새 임기에 나설 수 없는 문책경고, 중징계를 받았는데요.

주목할 쪽은 당장 손태승 회장의 연임이 달려 있는 우리금융입니다.

중징계가 예고된 지난해 말에 이미 우리금융 이사회는 손 회장의 연임을 결정했는데요.

최근에 이사회가 다시 손 회장의 연임 의사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내놔서, 금감원과의 갈등은 신경쓰지 않겠다는 입장을 사실상 밝힌 셈입니다.

앵커2> 하나하나 당국 인허가를 받아야 사업을 이어갈 수 있는 규제산업에서 이런 일은 전례를 찾기 힘든데, 우리금융 입장에선 싸워볼 만 하다는 계산을 한 거겠죠?

기자> 우리금융은 시기적으로, 또 법적으로 자신들이 우위에 있다고 판단을 한 것 같습니다.

손 회장 연임을 결정할 우리금융 주주총회가 다음달 24일인데요,

당국 예고대로 3월 초에 중징계가 확정되면 우리금융은 곧바로 가처분 신청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용되면 제재 효력이 정지되니까 우리금융 시나리오 대로 주총을 통해 손 회장이 연임을 이어나가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만약 금융위가 제재 확정을 주총 이후로 미루면 말할 것도 없이 연임에 성공할 수 있고요.

가처분이 인용되지 못할 경우가 문제인데, 이렇게 되면 우리금융은 후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손 회장의 연임이 무산되는 갑작스러운 사태에 맞닥뜨리게 됩니다.

우리금융 측은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에 내부 통제에 대한 책임을 CEO에게 지우는 부분이 나와있지 않아 법적으로 이번 징계의 근거가 뚜렷하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앵커3> 연임에 성공하더라도 문제가 끝나는 게 아닐텐데, 당국과 이렇게 갈등을 빚으면 앞으로 경영에도 상당한 부담이 생기죠?

기자> 지주로 전환한지 1년여밖에 되지 않은 시점에 당국과 이런 마찰은 물론 부담입니다.

은행 외에 뚜렷한 대형 계열사가 없는 우리금융의 경우 은행 비중이 80%입니다.

앞으로 증권과 보험 등 굵직한 M&A에 계속 나서야 하는데 향후 인수합병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M&A를 위해서는 금감원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 자회사 편입 심사 등을 거쳐야 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수치 이외의 부분, 즉 정성적인 부분도 상당히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금융의 민영화 로드맵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는데요.

지금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만원을 겨우 넘는 수준인데,

당국과의 갈등으로 M&A 같은 경영 전반에 차질이 생기면 주가 반등에 도움이 안 되겠죠.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우리금융에 지분 17.25%를 갖고 있는 정부가 지분을 제값 받고 매각하려면 만 3,800원까지 주가가 뛰어야 합니다.

앵커4> 설상가상이죠? 우리은행이 고객 비밀번호를 무단 변경하는 사고를 치고도 이 사안을 당국에 감췄다, 이런 일까지 밝혀졌죠. 문제는 이게 2년 전 일이어서, 시점이 공교롭죠?


기자> 지난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우리은행 일부 영업점에서 휴면계좌 고객 4만명의 비밀번호를 마음대로 바꿨다는 내용인데요.

이렇게 새로 활성화시키면 실적으로 반영됐다는 거고 우리은행도 이를 인정했습니다.

물론 있을 수 없는 행위를 우리은행이 저지른 것은 맞는데,

당시에 사태까지 파악해 놓고 아무런 징계도 안 하던 금감원이 이제 와서 다시 징계에 나선다고 하니 시선이 곱지 않습니다.

이 일을 놓고도 우리은행과 금감원은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데,

우리은행이 보고를 제때 안 한 것을 금감원이 경영실태 조사 때 발견했다, 우리은행은 아니다, 경영 실태 조사 때 우리가 먼저 보고했다, 이렇게 엇갈린 입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고객 자산을 제대로 보호 못한 은행 경영진과 이사회, 또 그들을 감독해야 할 당국까지 모두가 책임, 의무를 방기하면서 이번 사태가 벌어졌는데요.

진흙탕 싸움 양상을 보이면서 씁쓸함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조정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