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코로나19] 국내 연구진, 코로나19 백신 개발 앞당길 백신 플랫폼 만들어

메르스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해 영장류 효과도 확인
박응서 선임기자

금교창 뇌의약연구단 단장(왼쪽)과 방은경 박사 연구진이 바이러스 백신 플랫폼 구성물인 아연 착화합물 기반 RNA 안정화제 효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KIST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앞당길 수 있는 새로운 백신 플랫폼을 만들어냈다. 이미 영장류 실험에서 효과를 보여, 백신 개발이 시급한 코로나19에 활용이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의약연구단 금교창 단장과 방은경 박사 연구진은 가톨릭대 남재환 교수 연구진과 공동연구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RNA 백신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백신 플랫폼은 RNA를 면역증강제로 활용하고, 이 RNA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화합물과 코로나 바이러스가 숙주에 침투하는 스파이크 단백질로 구성돼 있다. 이 백신 플랫폼을 이용하면 같은 계열인 코로나19 치료용 백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안전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단백질 백신이 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단백질 백신은 항체 생산에서 세포에 대한 면역유도가 약해 균형 잡힌 면역반응을 위해 꼭 안정성 높은 면역증강제를 사용해야 한다.

공동연구진은 가톨릭대에서 면역증강제로 개발한 귀뚜라미 마비증세를 유발하는 바이러스 RNA와 KIST에서 개발한 아연 금속을 활용한 RNA 안정제를 혼합했다. 그리고 코로나 스파이크 단백질과 함께 면역했다.

이를 실험 쥐에 접종했더니 1회만으로도 충분한 방어 면역 효능을 보였다. 영장류인 마카큐 원숭이에서도 높은 중화항체를 유도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RNA 면역증강제와 안정제를 함께 면역하면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단백질 백신이나 불활화 백신 등 백신 타입 대부분에 적용할 수 있어 활용 가능성도 높다.

금교창 단장은 “RNA를 활용한 단백질 백신은 같은 계열인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재환 교수는 “최근 보고되는 DNA와 RNA 백신은 아직까지 제품으로 나온 적이 없다”면서 “반면 단백질 백신은 안전성이 검증돼, RNA를 면역증강제로 첨가한 새 백신 플랫폼이 안전한 백신 개발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공동연구진은 SK 바이오사이언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코로나19 예방 백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최신호에 게재됐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