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끊이지 않는 대기업 외식사업 매각설…안 파는 걸까 못 파는 걸까

신세계푸드에 이어 CJ푸드빌 매각설...신세계·CJ "사실무근"
관련업계 신세계푸드와 CJ푸드빌 매물 매력도 낮다는 판단
신세계푸드 핵심 사업 급식은 계열사 일감 적고 제조는 그룹 의존도 높아
CJ푸드빌, 경쟁 심화에 점유율 하락…제빵사 직고용 불확실성도 상존
박동준 기자



신세계푸드와 CJ푸드빌 등 대기업 계열 외식 기업들에 대한 매각설이 잇따르고 있다. 해당 그룹들은 즉각 매각설을 부인하고 나섰지만, 코로나19 여파로 기업 수익성이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매각설을 완전히 진화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푸드의 경우 핵심 사업이 단체급식이지만 대부분의 사업장이 '캡티브 마켓'(계열사 일감)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경쟁 입찰을 해야 한다는 불확실성이 있다.

샌드위치나 케익 등을 만드는 제조 사업의 경우도 현재는 수의계약으로 계열사에 물품을 공급하고 있지만 매각 이후는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신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현재 재무 상태를 기준으로 가치 평가가 힘들다는 것이 업계 전언이다.

신세계푸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단체급식 사업과 외식, 베이커리 등의 사업을 하는 제조서비스 부문의 매출은 전체의 47.51%다. 영업이익은 전체의 56.10%인 124억원이 관련 사업에서 발생했다. 업황이 악화하고 있는 외식업을 제외하면 단체급식 자체의 영업이익 기여율은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

신세계푸드가 이마트, 스타벅스커피코리아, 이마트24 등에 납품하는 특수관계자 매출은 최근 수년 간 매해 늘고 있다. 2016년 3,101억원이던 것이 2017년(3,622억원), 2018년(3,871억원)에서 지난해 4,111억원으로 커졌다. 관련 계약은 대부분 수의계약으로 진행됐다.

지난해 기준 계열사 매출이 신세계푸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1.14%다.

이런 특성 때문에 최근까지 신세계와 가격 협상을 하던 사모펀드가 결국 인수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푸드 매각설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이마트가 사모펀드와 매각 가격을 두고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해 거래가 완전히 결렬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추가적인 협상이 없기 때문에 '사실무근'으로 공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CJ푸드빌 역시 정기적으로 매각설에 시달리고 있다. 매각설이 나올 때마다 CJ그룹은 '팔 계획이 없다'며 강조하고 있지만 시장은 잠재적인 매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수익성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하는 것도 몸값을 높이기 위한 정지 작업이란 관측이 크다.

CJ푸드빌은 지난해 6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커피 프랜차이즈 투썸플레이스를 사모펀드에 매각한 바 있다. 이외에도 그 해 만성 적자 원인으로 지목되는 해외 사업을 중심으로 매장을 감축했다. 지난해 중국 뚜레쥬르 매장을 20% 가량 줄인데 이어 빕스는 중국 시장에서 모두 폐점하면서 철수했다.

국내에서도 빕스와 계절밥상 등의 점포를 줄인 데 이어 착즙주스 브랜드 '주스솔루션'을 정리하기도 했다. 이 같은 조치에도 올해 들어 코로나19로 업황이 악화하자 자구안을 내놓기도 했다. 자구안의 골자는 부동산 등 고정자산 매각, 신규 투자 동결, 지출 억제 극대화, 경영진 급여 반납, 신규 매장 출점 보류 등 유동성 확보에 모든 초점이 맞춰졌다.

다만 이 같은 노력에도 이번에 매각설이 불거진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뚜레쥬르'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지난 2013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신규 출점이 제한된 상태에 시장 자체도 포화에 달했다는 것이다. 시장점유율도 2015년 15.8%에서 매년 하락해 지난해는 14.2%로 떨어졌다. 또한 프랜차이즈 특성상 회사 매각에 대해 가맹점주들의 반대 여론도 무시할 수 없다.

2017년 파리바게뜨 사태로 촉발된 제빵사들의 불법 파견에 대해 정부가 직고용을 권고한 것도 인수에 걸림돌이다. 파리바게뜨는 자회사를 설립해 모든 제빵사를 고용한 상태다. 반면 CJ푸드빌은 현재도 하도급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향후 뚜레쥬르에서 일하는 제빵사들도 직고용을 본사에 요구할 수 있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상태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