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금융권 "코로나 대출만기 재연장, 옥석가려야"…당국은 '장고'

은행들 '한계기업, 음식·숙박업종 등 선별 관리' 건의
금융당국 "비올 때 우산 가져가면 안돼"
대출만기 재연장 여부 8월 재논의하기로
김이슬 기자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5대 금융지주 회장이 만나 코로나19 대출 만기 재연장 여부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해 일괄적인 대출만기 추가 연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부실 가능성을 우려하는 금융권은 한계기업과 취약업종을 분리해 선별 관리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2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권은 오는 9월 종료를 앞둔 코로나19 대출만기 재연장 여부와 관련해 차주를 구분해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당국에 건의했다. 기업실사 등을 통해 사업체의 옥석을 가려야 한다는 것이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 못 하는 등 재무 구조가 부실해 어려움을 겪는 '한계기업'이나 코로나19 여파로 직격탄을 맞고 있는 음식·숙박 등 취약업종을 간추려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를 추가 연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출 수요가 급증하면서 은행들은 최근 부실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출 문턱을 높이는 등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일부 은행의 경우 요식업 등 상황이 더 좋지 않은 곳을 구분해 대출 한도를 기존보다 절반이나 축소했다.

금융당국은 장고에 들어갔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추가 연장조치는 필수적이지만, 기존 혜택을 일부만 유지하고 나머지는 혜택을 거둬들일 경우 반발이 우려되는데다 앞으로의 경제상황을 섣불리 예단하기 어려워서다.

당국 관계자는 "부실 관리를 해야 하는 금융권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취약 차주에게 비올때 우산을 빼앗는 격이기 때문에 쉽지 않은 일"이라며 "아직 9월 종료까지 시간이 남아있기 때문에 실물경제 상황을 더 지켜보고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계는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를 추가로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이달 16~17일 금융권 대출을 활용하 고 있는 중소기업 274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기 10곳 중 8곳(78.1%)이 대출원금상환 만기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조치가 추가로 연장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4월부터 코로나19로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대출 원금상환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가이드라인'을 시행했고 오는 9월 30일 종료를 앞두고 있다. 당국은 사실상 재연장으로 가닥을 잡고 연장 범위와 연장 기간 등을 조율하고 있는 중이다.

.

<(왼쪽 두 번째부터 시계방향으로)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은성수 금융위원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사진=금융위원회>

은성수 위원장은 이날 오전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윤종규 KB금융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김광수 NH농협금융 회장 등 5대 금융지주 회장과의 조찬 회동에서도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재연장 문제를 논의했다.

당초 금융당국 수장과 핵심 금융지주 회장들이 만난 자리에서 재연장 여부를 확정지을 것으로 관측됐으나, 8월 중 재논의하기로 결정했다.

금융지주 회장들은 이 자리에서 "코로나19 영향추이와 기업자금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신용평가사는 당국이 추진하는 대출만기 재연장에 대해 우려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금융사의 자산건전성 지표를 왜곡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코로나19로 인한 금융권의 리스크 요인 점검 보고서'를 통해 차주가 대출상환 능력이 없는데도 기한을 연장해주는 '연명대출'은 표면적으로는 정상이지만 실상 부실여신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재연장 조치가 지속되면 금융사 자산건전성 지표의 의미가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2003년 9조원 이상 손실을 가져온 '카드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이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