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이동걸號 2기 산은, 출범 첫 과제는 아시아나항공 뒷수습

'노딜' 후 경영정상화 난제…혁신성장서 구조조정 해결사 재등판
김이슬 기자

KDB산업은행 수장으로 역대 4번째 연임한 이동걸 회장이 기업 구조조정 업무부터 코로나19 경제 위기 수습, 혁신금융 성장까지 산적한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특명을 안았다. 당면한 핵심 과제는 아시아나항공의 정상화 작업이다.

이 회장의 연임 첫날인 지난 11일 일정은 아시아나항공이 시작과 끝이었다. 당일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 회의에서 아시아나항공 매각 무산을 대비한 '플랜B'를 보고한 뒤 아시아나항공 본사를 찾아 직원들에게 경영정상화 방안을 설명하고 고통분담을 당부했다.

당초 이 회장이 지난 임기 내내 강조해 온 부문은 '혁신성장'이었다. 산은의 핵심 업무로 꼽혔던 '기업 구조조정 해결사'의 색채보다 4차 산업혁명 지원 정책기관으로 거듭나는 새 판을 짜려고 했다. 벤처투자 활성화 등을 통한 신산업 육성에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다. 그는 첫번째 임기 마지막날에도 혁신기업 현장을 방문하고, 연임 일성으로 혁신성장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장 눈앞에 해결해야 할 과제는 구조조정이다. 아시아나항공 '노딜' 이후 산은은 출자전환과 경영권 확보, 주주 감자, 인력 조정 등 구조조정 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영정상화 과정에서 적잖은 잡음이 일고 갈등을 봉합하는데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첫번째 단계로 채권단은 아시아나항공 영구채 8000억원을 주식으로 전환해 지분 37%로 최대주주에 오르게 된다. 효과적인 정상화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절차다.

당초 시장에서는 아시아나항공 매각 협상이 결렬되면 재무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감자가 추진될 것으로 관측했다. 감자는 회사 발행 주식 수를 줄여 자본금을 줄인 만큼 얻는 차익으로 결손금을 털고, 자본잠식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주식 수가 줄면 채권단 입장에서는 향후 출자전환에서 지분율을 높이는 효과까지 있다.

이런 예측과 달리 산은은 감자 대신 4800억원 규모의 아시아나항공 영구채를 사들여 자본을 확충하기로 했다. 매각 무산에 따른 초기 경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투입한 기간산업안정기금 2조4000억원 가운데 20% 수준이다. 최대현 산은 부행장은 "기존 주주 감자는 연말 재무상태나 채권단 경영권 확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당장의 감자 논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는 책임 주체를 특정하기 어렵다는 배경도 있다. 이번 아시아나항공 매각 무산은 이전 기업 사례와 결이 다른 측면이 있다. 매수자와 매도자 등 이해관계자를 넘어선 '코로나19'라는 변수가 크게 작용한 영향이다.

감자를 하는 건 최대주주에게 경영 실패의 책임을 묻는 차원인데 박삼구 전 금호그룹 회장에게 전적인 책임을 묻기가 애매하다는 것이다. 이번 아시아나항공이 노딜로 결론난데는 코로나19로 항공사들은 정상 운항이 불가능할 정도로 타격을 받았고 이로 인한 급격한 재무악화가 인수를 포기하게끔 만들었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채권단이 향후 감자를 추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금호산업의 아시아나항공 지분이 30.77%로 높은데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감자는 불가피한 카드라는 관측이다. 이 과정에서 금호산업의 반발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 2대 주주인 금호석유화학(지분 11.02%)과 소액주주의 차등감자를 추진하는 과정에서도 이견이 생길 수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인적 구조조정도 쟁점 가운데 하나다. 채권단은 당장 인력 감축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아시아나항공 임직원들은 올초부터 순환휴직, 유급휴직, 임원 급여반납 등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기안기금 지원의 조건 중 하나가 6개월간 기존 90% 이상 고용유지인 점을 고려해도 아시아나항공 직원 구조조정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희망퇴직 등 소규모 구조조정은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 부행장은 "운행 상태나 임금 반납 등을 볼때 인력 부분은 급한 일은 아니고, 추후 시기와 방법을 고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채권단이 에어부산과 에어서울 등 자회사 분리매각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이들 직원들은 고용불안을 걱정하는 분위기다. 기안기금 지급 대상 기업은 원칙적으로 계열사를 지원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쟁점은 HDC현산과의 계약금 반환 소송이다. HDC현산은 지난해 12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면서 총 인수대금의 10%인 2500억원을 이행보증금으로 냈다. 이번에 최종 매각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HDC현산은 계약금 반환 소송을 제기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해 채권단과 금호산업 측은 계약 무산에 따른 모든 법적 책임이 현산 측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어 법적 공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앞서 매각 무산에 따른 계약금이 반환된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2009년 한화와 대우조선해양간 M&A가 최종 불발된 이후 제기된 계약금 반환 소송에서 한화는 총 3150억원 중 1260억원을 돌려받았다. 법원은 '대우조선 노조 방해로 제대로 실사를 하지 못했다'는 한화 주장을 일부 받아들였다.




김이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