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K-뉴딜' 잡자…주도권 놓고 불붙은 운용업계

한국거래소 'KRX BBIG K-뉴딜 지수' 개발
배타적 사용권 가진 미래에셋운용 내달 ETF 상장 예정
"뒤쳐질 수 없다"…다른 운용사도 독자적 지수 개발 추진
조형근 기자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한 'K-뉴딜지수' 5종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에 발맞추기 위해 자산운용업계가 분주하다. '한국판 뉴딜'과 관련된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빠르게 상장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K-뉴딜'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만큼, 관련 ETF를 빠르게 상장한 운용사가 시장 주도권을 쥘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내달 중으로 'KRX BBIG K-뉴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상장할 예정이다. 'KRX BBIG K-뉴딜지수'는 지난 7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지수로, 베터리와 바이오, 인터넷, 게임을 대표하는 종목으로 구성된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관련 업종 내 10개사로 구성된 ▲KRX 2차전지 K-뉴딜지수 ▲KRX 바이오 K-뉴딜지수 ▲KRX 인터넷 K-뉴딜지수 ▲KRX 게임 K-뉴딜지수 4종과 4개의 지수에서 상위종목 12개사를 추린 ▲KRX BBIG K-뉴딜지수 1종 등 총 5종을 발표한 바 있다.

최근 'BBIG' 종목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산운용사 다수도 관련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장을 논의 중이다. 하지만 'KRX BBIG K-뉴딜 지수'를 활용한 ETF는 당분간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만 상장할 수 있다. 지수 개발에 기여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이 3개월 간 배타적 사용권을 갖게 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일부 운용사는 '독점 행위'라며 반발해 잡음을 빚고 있다. '한국판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해당 지수가 주목받고 있는 만큼 특정 운용사에 배타적 사용권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신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BBIG'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어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볼 수 없다"며 "한국판 뉴딜정책의 성공을 위한 공익적 목적을 위해서라도 다른 운용사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거래소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지수 개발에 기여한 만큼, 규정에 따라 배타적 사용권을 부여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거래소는 지수개발 시 기여도가 있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해달라는 업계의 요청에 따라 지난 2018년 6월부터 '배타적 사용권'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지난 7월 정부의 뉴딜정책 발표 이후 시장 활성화를 위해 독자적인 'K-뉴딜 지수' 개발을 추진했다"며 "이 과정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제안한 'BBIG 지수'가 거래소가 검토 중이던 뉴딜 지수의 컨셉과 유사해 해당 지수를 통합해 단일 지수(KRX BBIG K-뉴딜 지수)로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까지 배타적 사용권 제도의 혜택을 받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는 10개사에 달한다"며 "단순 컨셉만 제공한 것이 아니라 종목선정 및 지수산출에 있어 차별성이 인정되는 방법론 등을 제안했기에 기여도를 인정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한국거래소는 지수에 대한 업계의 불만이 높은 점을 감안해, 배타적 사용기간을 6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하기로 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을 제외한 다른 운용사는 '지수의 배타적 사용권'에 대해 유감을 표하면서도 독자적인 지수 개발을 추진하고 나섰다. 'KRX BBIG K-뉴딜 지수'를 3개월 동안 미래에셋자산운용만 사용할 수 있어, 관련 시장의 주도권을 내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ETF 시장에서 점유율 1위에 올라있는 삼성자산운용을 포함해 한국투자신탁운용과 KB자산운용, NH아문디자산운용 등은 금융정보회사 에프앤가이드와 함께 새로운 'K-뉴딜 지수'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지금 관련 ETF를 빠르게 상장해야 자금 몰이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며 "다른 운용사도 관련 지수 개발에 나선 건 미래에셋자산운용에게 주도권을 내주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조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