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뉴스후] 中企 코로나 여파 '극과 극'…줄도산 막을 해결책은

이유민 기자

thumbnailstart


[앵커멘트]
코로나19로 골목상권이 침체됐다는 이야기는 이미 많이들 접하셨을겁니다. 여기에 더해 골목상권 못지않게 실적이 악화된 중소기업도 늘어나는 상황인데요. 코로나 시대가 몰고 온 '언택트' 시대의 변화로 수혜를 입는 중기도 있는 한편, 도산 위기에 내몰린 곳도 많아 정부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앵커1) 이유민 기자. 코로나19 유행 이후 산업계 경영환경 전반이 악화한 만큼 중소기업계도 피해갈 수 없었을 것 같은데요. 분위기가 어떻게 변했는지 설명해주시죠.

기자)
현장에서 만난 중소기업계 관계자들은 요즘 시기를 그야말로 '최악'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내수 소비가 위축된 것은 물론이고 전 세계적인 영향에 수출길까지 막혀버려 진퇴양난에 놓여있다는 건데요.

이런 중기업계의 체감 경기 악화는 수치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표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하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 입니다.

올해 2월을 기점으로 하락세가 지속되다가 5월부터 반등하고 있었지만, 코로나19가 재확산된 시점인 8월 이후 또다시 하락 추이를 그리고 있습니다.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는 2014년 2월 전산업 통계작성 이래 지난 5월 역대 최저치(60.0)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앵커2) 코로나 이후 '언택트' 문화가 확산하면서 수혜를 입은 업종도 분명 있을 것 같은데요. 수혜업종과 비수혜업종 간의 격차가 크다고요?

기자)
네 말씀해주신 것처럼 언택트,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며 주목받고 있는 업종에는 대표적으로 온라인 교육 업체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비대면 방식의 교육 확산 이면에는 인쇄·출판업계의 몰락이라는 연쇄효과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면 수업이 줄어들자 학원 교재를 찾는 수요 역시 줄어들어 인쇄업계에 타격이 가고 있는 것입니다.


앵커3) 중기업계의 경영악화는 결국 고용유지 불안 등 그 문제가 더 퍼져나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요.

기자)
네 산업계에서 중소기업을 설명할 때 흔히 '9983'이라고 표현합니다.
국내 전체 기업의 99%가 중소기업이고, 전체기업 종사자 중 중소기업 종사자 수는 83%를 차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요.

중소기업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높은 '버팀목' 역할인 만큼 중기업계의 경영악화로 인한 고용불안은 결국 국내 경제의 큰 문제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중소기업의 고용유지 문제는 벌써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고용 유지가 어려워 정부의 지원을 받는 중소기업도 크게 늘었습니다.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금' 신청 접수 기업은 올해 9월 11일 기준 8만 곳을 넘어섰습니다.

작년 전체 신청 기업이 1,500곳을 조금 넘었던 것과 비교하면 50배 이상 늘어난 수칩니다.

중소기업의 고용유지 문제가 심화하면서 일자리와 관련한 근본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장의 목소리 들어보시겠습니다.

[이태희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 실업을 당했을 때 구직급여를 지급하는 것도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긴 하지만, 일자리를 새로 만들고 유지하는 이런 쪽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어떻게 보면 실업급여 중심의 정책에서 고용유지와 창출 쪽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앵커4) 중소기업의 경영 유지를 위해 일자리 정책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정책 제언이 많을 것 같습니다. 또 전문가들은 정책적 방향에 대해 어떤 식으로 조언하고 있나요?

기자)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우리나라 산업계에서 중소기업의 비중이 워낙 높다 보니 코로나로 인해 수혜를 입은 곳과 피해를 입은 곳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때문에 천편일률적 지원이 아닌, 맞춤형 지원이 절실한 상황인데요.

전문가들 역시 중소기업의 다양성에 맞춰 보다 세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이동주 중소기업연구원 부원장: 중소기업 지원정책이 대중요법적 정책보다는 세밀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비대면이라는 것이 피할 수 없는 앞으로의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모든 기업을 비대면화 하라는 것은 맞지 않고요.]

현재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비대면 벤처기업 육성 정책뿐 아니라 뿌리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 등 업계 전반의 기초체력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앵커 마무리)
올해 내내 우리 산업을 뒤흔든 코로나. 정말 영향을 받지 않은 산업이 없을 정도로 모든 업계를 뒤흔들고 있는데요. 특히, 국내 경제의 허리 역할을 맡는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이유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