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야구·축구는 관중 받는데…경마 기약없는 중단

무기한 경마 중단에 한국 말산업 고사 위기
비대면 서비스 활용할 방법 찾아야
유찬 기자

지난 6월 시행된 '무관중 경마' 모습 /사진=머니투데이DB

국내에서 연간 1,200만 명에 달하는 유료 관중이 찾고, 7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는 스포츠는 무엇일까?

답은 바로 '경마'다.

21일 한국마사회에 따르면 지난해 경마 매출은 7조 3,900억 원을 기록했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3개 경마공원과 30곳의 장외발매소를 찾은 경마 관중은 무려 1,271만 명이다. 과천과 부산, 제주에 위치한 경마공원을 직접 찾은 인원만 460만 명에 달한다.

이처럼 경마는 국내 최고 인기 스포츠라 불리는 프로야구를 훌쩍 뛰어넘는 산업 규모로 성장했지만, 여전히 '사행성'이라는 명목 아래 규제의 틀에 갇혀있다.

지난 12일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완화되면서 프로야구와 프로축구 등 대부분의 프로스포츠에 대해 관중 입장이 허용됐다. 정원의 최대 30% 이내에서 관중을 받을 수 있는데,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를 50%까지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반면, 한국마사회는 지난 2월 23일 이후 단 한 차례도 경마를 정상적으로 진행하지 못했다. 4개월 넘게 휴장했고, 말산업을 살리기 위해 무관중 경마를 시행하기도 했지만 비용 부담 탓에 결국 이마저도 중단됐다.

지난 7월 중순 전체 입장객의 10% 이내에서 관중을 들이는 방법도 추진됐지만 방역 당국과 농림축산식품부 반대에 무산되기도 했다.

코로나 확산 위험 때문에 관중 입장이 어렵다면 경주는 무관중으로 시행하되, 장외발매소나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마권 발매를 풀어주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정부와 국회에서는 이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100개 가까운 경마 시행국에서는 대부분 온라인으로 마권을 구입할 수 있다.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온라인 마권 발매 덕에 코로나19 이전 보다 오히려 경마 매출이 상승했다.

이에 축산경마산업비상대책위원회는 경마를 도박과 사행성이 아닌 스포츠와 말산업의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며 축산경마산업의 붕괴를 막기 위해 온라인 마권 발매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비대위 주장에 따르면 축산경마산업은 산업규모 3조 4,000억원, 고용인원 2만 3,000명에 달하는 큰 산업이다. 보통 말 1마리를 기르면 일자리 5개가 생길 정도로 지역 경제에 보탬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해 국세 4,000억원, 지방세 1조 600억원 등 환급금을 제외한 순매출액의 74%를 조세로 납부할 정도로 국가 재정에도 기여하고 있다. 수익금의 70%는 또 축산발전기금으로 내놓는다. 여기에 환급금에 붙는 세금을 합하면 연간 2조 6,000억원 넘는 돈이 경마 산업에서 발생해 국고로 돌아가는 셈이다.

하지만 올해 경마가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으면서 수조원의 조세 납부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에 더해 최근 2차례의 경주마 경매에서 144두 중 고작 2두만 낙찰되는 등 연관된 말산업의 위축도 가속화하고 있다.

비대위 측은 "이처럼 일자리와 재정 측면에서 다양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경마 산업을 도박 프레임에 가둬 온라인 발매를 금지하는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마가 스포츠가 아닌 도박이라는 인식이 여전히 강하지만 오랜 기간 훈련을 거친 경주마와 기수가 승부를 겨룬다는 점에서 여타 스포츠와 크게 다르지 않다. 또 야구와 축구 등 일반 프로스포츠도 스포츠토토를 통해 합법적으로 승부 결과에 대해 돈을 걸고 베팅할 수 있으며, 이들 종목은 온라인 베팅도 가능하다.

한국 경마는 훌륭한 영상 중계 기술과 현재는 경마공원 내에서만 가능하지만 앱을 통한 마권 구매 시스템도 갖췄다. 규제 완화를 통해 온라인 마권 발매 길만 열린다면, 말산업 회복은 물론 전 세계 비대면 흐름을 타고 경마 수출 증대도 기대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경제 침체에서도, 코로나 시대 대세로 떠오른 비대면을 적절히 활용한 산업과 기업들은 오히려 급속하게 성장할 수 있었다. 한국 경마도 사행성이라는 족쇄에서 벗어나 비대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면 새로운 전화위복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