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현장+] 소송 시달리는 'bhc 가맹점주'를 파트너로 말할 수 있나

박동준 기자

지난달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 일반증인으로 박현종 bhc 회장이 출석한 모습. 사진/뉴스1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가맹점주를 지칭할 때 자주 나오는 말이 있다.

'파트너', '패밀리'. 가맹본부와 가맹점주가 동등한 사업자란 점을 강조하는 의미다.

하지만 파트너, 패밀리 대우는 가맹점주 모집 과정에서만 해당될 뿐 가맹본부는 '갑' 점주는 '을' 관계가 더 현실상 맞는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치킨 프랜차이즈 bhc 취재 과정에서 보고 들은 사례만 따져봤을 때는 그렇다.

박현종 bhc 회장은 2018년에 이어 올해도 국민들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에게 질타를 받았다. 가맹점주 상대로 갑질 의혹 때문이다.

2018년 bhc 감사보고서 공개 이후 가맹점주들은 가맹점주협의회를 결성했다. 동종업계에 비해 물품 공급가격이 너무 비싸다며 가격 인하를 가맹본부에 공개적으로 주장하기 위해서다. 이외에도 광고비를 점주에게 일방적으로 전가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와 관련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에 착수해 bhc가 법 위반을 한 것으로 판단해 징계절차에 착수한 상태다.

반면 bhc 측은 폭리는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가맹점주들과 상생하겠다고 밝혔다. 문제가 처음 불거진 2018년도 그렇고 올해 역시 같은 입장이다.

하지만 bhc의 상생은 말뿐이었다. 오히려 회사에 비판적인 가맹점주들에 대한 압박이 더 심해졌다. 2018년 국감 이후 가맹점주 협의회 주요 간부들에 대해 잇따른 계약해지가 단적인 사례다.

이를 뒷받침하는 통계도 있다. 공정위에 따르면 '계약종료'가 아닌 '계약해지' bhc 가맹점은 2018년 70개에서 지난해 101개로 늘었다. 같은 기간 BBQ는 계약해지 점포가 2018년 65개, 지난해 30개로 줄었으며 교촌치킨도 4개, 2개로 해지 점포 수가 bhc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었다.

bhc와 계약해지한 가맹점 모두가 본사 주도로 했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bhc 가맹본부에 불만을 가지는 점주가 동종업계에 비해 많다고 해석할 수는 있다.

bhc 취재 과정에서 전·현직 점주들에게 일관되게 들은 말이 있다. 본사의 불공정 거래에 대해 실컷 성토를 하던 점주들이 마지막에는 "기사화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하더라도 익명으로 해달라"는 것이다. 이유는 본사 소송이 두렵기 때문이라고 점주들은 입을 모았다. 특히 박현종 bhc 회장 눈 밖에 나면 어떻게든 보복이 들어온다고 전했다.

현재 bhc는 본사에 부정적인 언론 인터뷰에 응한 점주들을 색출해 무더기 소송전을 진행 중이다.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한 번 소송에 휘말리면 소송 승패 유무를 떠나 당장의 생계가 걱정인 상황에서 소송 자체의 비용과 시간이 감당하기 힘든 상태다. 이 때문에 bhc가 가맹점주를 압박하는 주요 카드로 소송을 꺼내드는 것으로 보인다.

bhc가 소송 남발로 회사에 비판적인 가맹점주를 쫒아내고 당장의 위기를 모면할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한 가지 명심할 것이 있다. 가맹점이 없으면 가맹본부도 없다. 처음으로 돌아가 가맹점주는 가맹본부와 동등한 사업자로 상명하복의 갑을 관계가 아니다.

또한 프랜차이즈 업종 특성상 회사 이미지가 중요하다는 점도 bhc가 명심해야 한다. 공정위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치킨 프랜차이즈는 모든 외식 프랜차이즈 중 가장 많은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만큼 가맹본부도 많고 경쟁도 치열하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bhc가 업계 2위라고 하지만 1위인 교촌치킨이 10.8% 남짓의 점유율이고 그 뒤로 bhc(7.8%), BBQ(7.5%) 등의 순이다. bhc가 굳이 아니더라도 대체할 브랜드가 많다는 것이다.

갑질로 이미지가 추락해 사라진 프랜차이즈는 많다. 미스터피자가 대표적인 사례다. 승승장구하던 미스터피자는 오너일가의 일탈로 소비자들이 외면해 결국 정우현 미스터피자 회장은 회사를 매각했다.

월급쟁이의 신화라고 불리는 박현종 bhc 회장. 그런 박 회장에게 통렬한 성찰과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동준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