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국산 mRNA, 대형 vs 벤처 컨소시엄…누가 더 빠를까?

문정우 기자

thumbnailstart


[앵커멘트]
국산 mRNA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기업들의 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성과물을 선보일 곳은 어디인지, 문정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사내용]
국산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본격적인 경쟁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바이오 벤처기업들은 코로나19 변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후보물질을 찾고 내년 임상과 대량 생산까지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컨소시엄(mRNA 바이오벤처 컨소시엄)을 구성했습니다.

이보다 앞서 대형 제약사들도 협업시스템(K-mRNA 컨소시엄)을 구축했습니다.

바이오 벤처와 달리 7,000억원이라는 구체적인 예산도 책정해, 내년 상반기 백신의 조건부 허가를 목표로 속도를 낸다는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임상 진행은 바이오벤처가 앞서 있습니다.

아이진의 mRNA 후보물질(EG-COVID)은 국내 1/2a상을 승인받아 투약을 시작했습니다.

큐라티스(QTP104) 역시 국내 임상 1상 승인을 받았습니다.

반면 대형 제약사 컨소시엄은 에스티팜의 후보물질(STP-2104)을 활용해 전임상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갈수록 백신 접종자가 늘면서 이미 임상을 시작한 곳과 격차는 더 벌어질 전망입니다.

[조양제 아이진 기술총괄대표 : 지금 아직 20대 백신 안 맞은 분이 있어서 45명 금방 모으긴 했는데 10~12월에도 이럴 것이란 보장이 없거든요 6달, 7달 차이라고 하는데 이 기간이 임상 시험에 벽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내년 조건부 허가 이후 상품화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란 게 업계의 시각입니다.

제약사의 mRNA 백신은 영하 20도로 유통·보관돼야 해 냉동설비 등 새로 세팅이 필요하지만, 바이오벤처 컨소시엄은 동결건조 제형으로 냉장 보관(영상 2~8도)이 가능합니다.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 : 공장에 들어가는 장비는 기계를 사서 올려 놓는게 아니고요 전기나 물이 있는 라인에 들어가는 것이어서 설치도 오래걸리고 설치 후 테스트에도 보통 6개월 이상 걸려요.]

다만 중장기적 측면에서는 자금과 규모에서 우위에 있는 대형 제약사 컨소시엄이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문정우입니다.


문정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