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MTN 인사이트]5G 아직 멀었는데…6G 경쟁 치열한 이유는?

세계 각국 6G R&D 경쟁 치열
5G 뒤집기 성공한 中 통신장비
美 "6G는 우리가 선도"...데이터 패권 경쟁 불붙어
김용주 기자

SK텔레콤 엔지니어가 도심항공교통(UAM)을 위한 상공망 안테나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6G는 이동통신의 영역을 상공 10km까지 확대한다. <사진=SK텔레콤>


우리나라가 누리호 발사를 성공시키고 다누리까지 쏘아올렸을 때 국내외 많은 전문가는 '6세대(6G) 이동통신' 실현 가능성을 주목했다. 6G는 5G와의 결정적 차이로 '상공 10㎞ 수직 통신'을 내세우는데,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위성통신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다누리에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우주인터넷 통신장비가 실려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6G에 대한 관심은 우리만 큰 게 아니다. 미국과 중국은 물론이고 유럽연합(EU)과 일본까지 나서 '6G 선도국'을 자처하고 나섰다. 연구개발(R&D) 계획을 수립하고 대규모 투자를 시작했다. 5G도 확산하려면 멀었는데 빨라야 7~8년 후에나 상용화가 예상되는 6G에 이렇게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뭘까. 경제적 가치 창출이 표면적 이유지만, 배후에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데이터 패권 경쟁'이 자리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원유'로 불리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경쟁국에 빼앗기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로 풀이된다.


◆치열한 6G 선점 경쟁..."6G는 우리가 주도"

6G는 2030년을 전후해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2020년 8월 6G 연구개발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5G에 이어 6G도 세계 최초 상용화에 도전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로 2021년부터 2000억원을 투입, 국제표준 선점과 산업 생태계 강화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2021년 6월 미국 산타바바라캘리포니아주립대(UCSB)와 협업해 테라헤르츠 대역 통신 시연에 성공했다.



5G에서 결정적인 '뒤집기'에 성공한 중국은 자신감 넘치는 태도로 6G 준비에 돌입했다. 2018년 6G 연구에 공감대를 보인 이후 2019년 6월 '중국 6G 추진단(IMT-2030 추진조)'을 설립하고 정부 주도 6G R&D에 시동을 걸었다. 중국 6G 추진단은 화웨이, ZTE 등 장비사는 물론이고 차이나 모바일, 차이나 텔레콤, 샤오미, 레노버 등 주요기업과 대학, 연구단체 등이 총집결한 '드림팀'이다. 중국의 놀라운 점은 2021년 6월에 이미 '6G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6G 10대 핵심기술'을 발표했다는 점이다. 6G 설계도와 활용분야를 누구보다 앞서 제시한 셈이다.

미국이 6G에 본격 대응한 건 2020년 10월이다. '넥스트G 얼라이언스'를 출범, 향후 10년 간 6G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확립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이동통신사와 에릭슨, 노키아, 삼성전자, 인텔, 퀄컴,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참여했다.

EU는 핀란드 주도로 2018년 '6G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2020년 12월
'헥사-X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노키아, 에릭슨 등 통신장비업체와 오렌지, 텔레포니카 등 통신사, 핀란드 오울루 대학, 이탈리아 피사 대학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2030년 6G 상용화를 목표로 6G 표준기술 선점을 전면에 내세웠다.

일본은 '5G에서는 뒤졌으나 6G에서는 앞선다'는 의미에서 '비욘드 5G 추진전략'을 총무성 주도로 2020년 4월 발표했다. 6G 기지국 장비 점유율 30%, 6G 필수특허 점유율 10% 등 의미심장한 목표도 제시했다. 목표 달성을 위해 '비욘드 5G 추진 컨소시엄'을 발족하고 '비욘드 5G 신 경영전략센터'를 설립하는 등 지금까지와는 다른 발빠른 모습을 보였다.


◆美도 인정한 中 통신 경쟁력

중국의 통신장비 경쟁력은 이미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이다. 지난 3월 델 오로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4분기 기준 세계 통신시장에서 화웨이는 28.7%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에릭슨이 15%, 노키아가 14.9%, ZTE가 10.5%, 시스코가 5.6%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3.1%에 그쳤다.
미국은 중국 견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화웨이와 ZTE를 견제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기반 '오픈 랜'을 주도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로 이동통신 기지국을 구현, 통신장비에 대한 종속을 벗어나겠다는 것이다. 통신장비용 소프트웨어를 국제 표준화, 통신장비 간 호환을 가능하게 한다는 전략이다. 지금까지는 제조사가 다른 통신장비 간 호환이 어려웠으나, 이제는 소프트웨어만 일치시키면 호환이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미국은 작년 말 6G 주도권 확보를 위한 '미래 네트워크 법안'을 발의했고, 올 하반기 '6G 기술자문위원회'를 출범시킬 계획이다. AT&T는 연내 오픈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이밖에 통신장비 회사를 갖지 못한 독일이 오픈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미국 주도의 오픈랜 전략이 생각처럼 잘 먹힐지는 미지수다. 중국 기업은 물론이고 노키아, 에릭슨, 삼성전자 등 미국에 우호적인 통신장비사도 오픈랜에 적극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오픈랜이 보편화하면 통신장비사는 단순 기기 납품 업체로 전락한다. 다만 점유율이 낮은 장비사는 기존 장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춘다는 점에서 오픈랜에 보다 우호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미중 데이터 패권 경쟁

6G 경쟁의 표면적 이유는 경제적 가치 창출이다. 2018년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예상한 6G의 직접적 경제 가치는 약 1000조원에 달한다.

그러나 경제적 가치 외에 '데이터 패권 경쟁'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특히 미국과 중국은 사생결단의 자세로 데이터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2020년 미 정부가 추진한 '클린 네트워크 정책'이 대표 사례다. 통신, 클라우드, 앱 등 다양한 IT 산업 분야에서 안보 위협이 없는 '클린 회사'를 지정하는 정책에 각국의 참여를 독려한 것이다. 미국은 여기에 KT와 SK텔레콤을 포함시켰다. 중국 통신장비를 사용하는 통신사를 뺀 것이다.

미국은 지난해 '혁신경쟁법'을 통과시키고 중국 견제를 공식화했다. 7개 세부 법으로 구성된 혁신경쟁법은 중국에 대한 수출통제, 국제협력, 자유로운 데이터 이동 등을 강조했다.

중국도 맞불을 놨다. 중국은 데이터를 전략자산화하고 데이터 로컬화를 강제하는 라이선스 제도를 도입했다. 해외 IT 사업자가 중국에서 영업하려면 중국 내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중국은 지난해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 개인정보의 역외 이전도 제한했다. 특히 지난해 데이터안전법을 만들고 데이터의 전략자산화를 더욱 공고히 했다.




김용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