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EU, 배터리 여권 도입…"디지털 이력 시스템 필요"

EU, 역내 거래 제품에 대한 디지털 여권 제도 도입
순환경제 구축 위해 디지털 이력 추적 시스템 마련 목소리
김승교 기자


유럽연합(EU)이 배터리 여권을 도입하기로 한 가운데 우리나라도 제품의 디지털 이력 추적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24일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내놓은 'EU 배터리 여권으로 살펴본 이력 추적 플랫폼의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EU는 2026년 배터리를 시작으로 중장기적으로 역내에서 거래되는 거의 모든 제품에 대해 '여권(Passport)' 제도를 도입하고 디지털 순환경제 플랫폼 구축에 나설 전망이다.

'배터리 여권'은 배터리의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 등 전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기록하고 공유해 배터리의 안전성 향상 및 사용 최적화, 재활용 등을 꾀하는 제도다.

이를 모든 물리적 상품으로 확대한 것이 '디지털 제품 여권'이며 이를 통해 소비자가 상품 공급망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사전에 파악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EU의 움직임에 독일, 일본 등 주요국들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독일은 EU 회원국 중 가장 먼저 배터리 여권 플랫폼 개발에 나섰다. BMW, 유미코어, 바스프 등 11개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배터리 정보를 수집·활용하는 '배터리 패스' 프로젝트 개발에 착수했다.

일본에서도 지난 4월 민간이 주도하는 배터리공급망협의회(BASC)가 EU 배터리 여권과의 호환성 및 확장성을 살린 일본식 배터리 공급망 디지털 플랫폼을 설계하면서 EU 배터리 여권 제도 도입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중국이 배터리 이력 추적 및 재활용 플랫폼 구축에 가장 앞서있다. 이미 2018년부터 배터리 이력 추적 플랫폼(EVMAM-TBRAT)을 구축하고 전기차 배터리의 재활용 책임 및 이행 여부를 감독하고 있다.

지난해 1월 기준으로 406만7000대 이상의 신에너지 차량이 등록됐다. 지난해 8월부터는 배터리 재사용 관련 기업의 배터리 정보 입력이 의무화돼 이력 정보도 빠르게 축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배터리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디지털 이력 추적 시스템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분석이다. 또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이행 여부가 디지털 제품 여권에 수록되는 만큼 관련 사항을 미리 점검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무역협회 김희영 연구위원은 "이력 추적이 배터리뿐만 아니라 모든 상품으로 확대될 전망인 만큼 정부는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을, 공급망 내 참여기업들은 재활용 및 ESG 이행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승교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