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블루카본 확충·해운 탄소중립…30년까지 해양 온실가스 70% 감축

해양수산부,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2022~2026) 발표
유찬 기자

서천 갯벌 습지 / 사진 자료=뉴스1

정부가 갯벌 염생식물 군락 복원 면적을 늘려 해양생태계에서 온실가스를 흡수·저장하는 '블루카본'을 확충한다. 선박 운항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제로(0)'로 만드는 탄소중립 해운물류망도 구축한다. 해양수산부는 이같은 전략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2018년 406만톤에 달했던 해양수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70% 감축해 120만톤으로 줄여나가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5일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2022~2026)을 마련하고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이행을 위해 계획기간을 넘어 2030년까지의 구체적 이행방안과 목표를 제시했다. 블루카본의 탄소흡수력을 높여 106만톤을 저감하고, 수산·어촌 에너지 절감을 통해 88만톤, 어선·어업 효율화와 저탄소 어선 보급을 통해 88만톤을 감축한다. 국내 해운 분야에서도 19만톤을 줄일 방침이다.

해조류나 염생식물 등 해양생태계가 흡수·저장하는 온실가스인 '블루카본'을 단계적으로 확충해나간다.

2030년까지 갯벌 식생 105㎢를 복원하고, 해조류 바다숲 540㎢를 조성하는 등 블루카본을 확충하고 보호구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블루카본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106만톤을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의 갯벌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국제적으로 보존가치를 인정받았지만, 아직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에서 온실가스 흡수량 산정방식을 공인받지 못하고, 신규 흡수원으로도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염생식물이 서식하는 갯벌의 탄소흡수능력은 1제곱킬로미터(㎢) 당 연간 334톤에 달한다. 하지만 염생식물이 없는 갯벌의 탄소흡수능력은 아직 IPCC에서 인정받지 못한 상황이다. 온실가스 흡수량 산정체계와 통계기반을 구축하고, 국제 네트워크에서 블루카본 확대 공감대 형성 노력을 펼쳐 2026년 IPCC 지침 개정시 비식생 갯벌의 신규 흡수원 반영을 추진한다.

탄소중립 해운 물류망 구축을 위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전혀 하지 않는 연안 여객 항로를 만든다. 무탄소·탈탄소 선박과 연안 현대화, 탄소중립항만 기술 등을 도입한 온실가스 배출 '제로' 항로를 전체 연안 여객 항로의 2%까지 시범 도입할 계획이다. 무탄소 선박을 투입하는 국제 항해 항로도 새로 개척한다.

이를 위해 저탄소·무탄소 선박 기술 개발과 실증에 집중 투자해 우리 선박 기술이 국제해사기구(IMO) 등에서 국제표준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1차 친환경선박 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관공선 388척, 민간선박 140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LPG·하이브리드 연료 추진 저탄소 어선 연구 개발을 완료 후, 2026년부터 보급을 시작하는 것이 목표다. 2026년부터 연 40척씩 노후어선의 저탄소 대체건조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해양수산업 인프라를 신재생에너지·수소경제 확산의 교두보로 삼기로 했다. 민간투자를 통해 울산항 신항, 부산항 신항, 광양항 등에 단계적으로 수소항만을 조성해 항만을 수소에너지 유통·물류 허브로 활용한다. 양식장과 어항 등 수산업 기반시설에 신재생에너지 생산시설을 설치하는 계획도 수립한다.

기후변화로 점차 강해지는 연안 재해와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수산업계 위험 요인을 낮추기 위해 기후위기에 선제 대응할 방침이다. 한반도 인근 해역 이상현상 감시를 위한 해양관측망 약 20개를 설치하고, 인공지능(AI) 기반 해양 기후재해 예·경보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연안 기후재해 대응 기반을 정비한다. 중요 인프라 시설인 항만에는 파도와 폭풍해일 등에 더 강화된 재해 기준을 적용해 내년부터 시설 보강에 착수한다.

양식수산물에 저탄소 인증제를 도입하고, 양식보험 상품도 개발할 예정이다. 수산·어촌의 기후위기 영향평가를 제도화하는 등 생물다양성 감소, 유해·교란종 발현 등 잠재적 위험요인을 관리한다.

해양수산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양폐기물 감축 노력도 강화한다. 어구 실명제, 어구·부표 보증금제 도입 등 폐기물 관리·회수체계를 갖춘다. 2030년까지 전국 주요 어항과 연안에 해양폐기물 전용 집하장 1200개를 설치할 예정이다. 해양폐기물을 재생 에너지로 만드는 에너지화 시스템도 보급한다.

아울러 해양폐기물과 항만 등 기존 통계에서 분류하지 못하던 일부 해양수산부문의 배출량 산정과 검증을 추진한다. 또 해수부는 종합계획 이행점검 및 평가를 매년 실시해 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할 방침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탄소중립이 산업계의 새로운 기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더 심각해지는 기후재해로부터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찬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