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폐배터리 시장 관건 '물량 확보' 두고 기업 간 기싸움 '팽팽'

2021년 이후 등록 전기차 폐배터리 소유권은 차주에…시장 선점 노력↑
완성차·이차전지·리사이클링 업체까지…배터리 물량 확보 '사활'
최유빈 기자

2022 인터배터리 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이 전기차용 포스코 배터리팩 모델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 제공= 뉴스1

공급망 중요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폐배터리 시장에 속속 뛰어드는 가운데 배터리 물량 확보를 두고 기싸움이 팽팽하다. 아직까지 모호한 폐배터리 소유권을 두고 완성차·이차전지·리사이클링(재활용) 업계 간 시장 선점 경쟁이 가열되는 모습이다.

현행법에 따르면 2020년까지 등록된 전기차 폐배터리는 지자체에, 2021년부터는 차주에 귀속된다. 즉 2020년 12월 31일 이전에 등록된 전기차가 폐차되면 차량에서 나온 폐배터리는 의무적으로 지자체에 반납된다. 현재는 환경부 산하 환경공단이 해당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거점수거센터에서 잔존 성능평가를 진행한 뒤 민간에 매각한다.

다만 폐배터리 지자체 반납 의무가 민간 재활용 시장을 위축한다는 반발이 제기됐고, 그 결과 대기환경보전법이 개정되면서 2021년 1월 1일부터 등록된 전기차의 폐배터리는 차주가 소유권을 가지게 됐다. 이에 따라 거점수거센터를 거치지 않고 민간에서 폐배터리 거래가 가능해졌다.

폐배터리 소유권이 차주로 넘어오면서 관련 업계의 셈법은 복잡해졌다. 전기차 보급이 본격화된 2021년 이후 등록된 물량을 확보하면 폐배터리 시장 선점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 등 완성차업계가 추진 중인 '배터리 구독 사업'도 하나의 전략으로 꼽힌다. 전기차 가격의 절반을 차지하는 배터리 소유권을 분리해 차량을 판매하고, 배터리에 대해서는 매월 구독료를 지급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소비자는 배터리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대신, 폐차 시 배터리는 완성차업계가 가지게 된다.

테슬라의 경우 한 발 앞서 '코어차지(Core charge)' 프로그램을 통해 배터리를 회수하고 있다. 코어차지는 노후 차량부품을 반납하면 일정 금액을 되돌려주는 제도다. 해당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배터리팩을 저렴한 가격에 교체할 수 있지만, 폐배터리는 반드시 테슬라 측에 반납해야 한다.

폐배터리 시장에 관심을 보이는 건 완성차업계뿐만이 아니다.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와 SK에코플랜트 등 환경·에너지기업, 성일하이텍 등 리사이클링 업체도 미래 먹거리로 폐배터리를 점찍고 물량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폐배터리 잔존성능에 따라 중고 전기차나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재사용이 가능하고,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니켈·코발트 등 원재료를 회수해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기업들이 폐배터리 시장에 눈독을 들이면서 향후 배터리 확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아직까지 시장에 나와있는 폐배터리는 고장·손실 배터리가 다수다. 하지만 통상 전기차 배터리 사용주기가 7~10년임을 고려하면 오는 2028년경부터는 폐배터리가 대거 쏟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폐배터리 사업 승패를 결정짓는 관건은 기술력과 물량 확보"라며 "특히 물량이 있어야 재사용이든 금속 추출이든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큰 사업의 축이라고 본다. 업계에서도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최유빈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