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게임사 위메이드가 발행하는 가상자산(코인) 위믹스가 상장폐지된지 두 달만에 국내 거래소에 재상장되면서 논란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습니다. 거래소 협의체를 통해 공동으로 상장폐지를 결정한지 두 달만에 단독으로 재상장한 자체가 시장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건데요. 일각에선 '자율 규제'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박미라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위믹스는 유통량(발행량)을 부풀린 사실이 드러나 지난해 12월 최종 상장폐지됐던 위메이드의 가상자산입니다.
위메이드가 국내 거래소에 제출한 유통량 계획보다 더 많은 물량이 유통된 것이 확인돼 '거래소 공동 연합체' 닥사가 내린 결정이었습니다.
그런데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어제(16일) 위믹스를 재상장한다는 공지를 올리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닥사 차원에서 상장폐지라는 공동 입장이 나온지 두 달여 만에 반대되는 행보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코인원은 "상장 폐지는 닥사에서 공동으로 내린 결정이지만, 상장 여부는 거래소의 고유 권한으로 심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더 면밀한 검증과 심사과정을 거쳐 거래지원(재상장)을 결정했다"면서 "현재 가상자산 산업이 규제를 정비해 나가는 과도기에 있는 만큼, 이번 결정이 가상자산 시장에 하나의 기준점을 제시하고 한층 성숙한 생태계를 만드는 데 좋은 선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부연했습니다.
닥사는 "상장에 대한 권한은 각 거래소에 있다"면서 "(코인원 측에)위믹스 재상장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공유 받은게 없고, 이와 관련한 별도의 입장 발표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선 닥사의 역할과 신뢰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황석진 / 동국대 국제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닥사 자체가 어떤 구속력을 가지고 일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서로가 합의에 의해서 이루어진 기구잖아요. 앞으로는 어떤 의사결정을 하더라도 향후에 그걸 반드시 꼭 따라야 된다 이런 부분으로 나올 필요는 없다 그런 논리가 되는 것이죠]
닥사를 포함한 가상자산거래소들이 내세우는 '자율규제'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자율규제 정의가 모호할 뿐더러 제대로된 규제도 이뤄질 수 없다는 겁니다.
[홍기훈 / 홍익대 경영대 교수: 자율규제를 할테니깐 규제하지 말아달라고 하는건 말이안된다고 이야기를 했던게 자율규제라는게 원래 이래요. 규제는 규제대로 가야 된다는 거죠.]
금융당국에서도 투자자 보호와 거래소 신뢰성 관점에서 신중히 판단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위믹스 재상장'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박미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