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택∼오송 고속철도 2복선화 사업 위치도. 자료=국토부 |
종합엔지니어링사 유신과 도화엔지니어링 등이 100억원대 규모의 건설사업관리를 각각 낚았다.
국가철도공단이 6일 ‘평택∼오송 2복선화 건설사업’과 ‘강릉∼제진 단선전철 건설사업’ 총 7개 공구에 대한 건설사업관리사업자 선정 평가를 진행한 결과, 유신과 도화엔지니어링 등이 꾸린 사업자 팀이 낙찰적격자 지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128억원(이하 모두 부가세 포함 금액) 규모의 평택∼오송 2복선화 1공구 건설사업관리 사업권은 동명기술공단이 가져갔다. 동명기술공단은 유신·선구엔지니어링·태조엔지니어링과 협력하기로 했다.
같은 노선 141억원 규모의 2공구 건설사업관리 사업권은 유신 품으로 향했다. 유신은 동명기술공단·선구엔지니어링·이산과 손을 맞잡았다.
평택∼오송 2복선화 3공구(101억원)와 4공구(111억원)의 건설사업관리는 각각 도화엔지니어링과 천일이 거머쥐었다. 도화엔지니어링은 한국종합기술·삼안 등과, 천일은 수성엔지니어링·태조엔지니어링 등과 각각 함께 해당 건설사업관리를 담당한다.
마지막 5공구(132억원) 사업권은 서현기술단이 수주했다. 서현기술단은 동일기술공사·다산컨설턴트·경동엔지니어링과 한 팀을 꾸려 평택∼오송 2복선화 5공구 건설사업관리를 수행한다.
강릉∼제진 단선전철 2공구(78억원)와 4공구(103억원)의 건설사업관리는 각각 대한콘설탄트와 수성엔지니어링이 확보했다.
이처럼 공구별 건설사업관리 낙찰적격자를 가진 철도공단은 이달 7일 가격평가를 진행해 수행 사업자를 확정할 예정이다. 큰 이변이 없다면 기술평가에서 낙찰적격자 지위를 거머쥔 건설엔지니어링사들이 어렵지 않게 사업권을 가져갈 전망이다.
최남영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