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김용주의 0과 1]OTT, 콘텐츠와 플랫폼 산업을 나눠야 산다

콘텐츠 산업에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는 기회
플랫폼, 망 사용료 등 공정경쟁환경 조성 필요
김용주 기자





위기에 직면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산업을 살리려면 콘텐츠와 플랫폼 산업을 구분할 줄 아는 시각이 필요해 보입니다. OTT 산업은 크게 보아 콘텐츠와 플랫폼으로 구성돼 있는데, 두 산업에서 한국의 처지가 상반되니 해법도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콘텐츠 산업은 OTT가 기회입니다. 특히 넷플릭스는 큰 도움이 됩니다. 전세계 시청자를 만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넷플릭스가 연간 8천억원을 한국에 투자하면 콘텐츠 산업에 단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제작비도 비싸게 쳐주고, 내용도 간섭하지 않으니 마음껏 창작열을 불태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OTT 플랫폼은 사정이 다릅니다.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승승장구하는 사이 국내 업체는 맥을 못 춥니다. 티빙과 웨이브가 지난 2년간 기록한 적자는 3천억원이 넘습니다. 콘텐츠는 만들어야 하는데 그만큼 구독자가 늘지 않아 벌어진 일입니다. 왓챠는 매물로 나왔고, KT는 일찌감치 OTT 사업에서 손을 뗐습니다.

해외에서 한국 OTT 플랫폼은 존재감이 거의 없습니다. 미국 콘텐츠보다 한국 콘텐츠를 더 좋아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아세안 국가에서도 정작 OTT는 넷플릭스나 아마존프라임, 디즈니플러스를 선호합니다. 여기에 중국 OTT까지 가세해서 국산 OTT는 들어갈 틈바구니를 찾기 어렵습니다.

해외에 한국 OTT가 없다는 건 단순히 아쉬움을 넘어 실질적 문제로 이어집니다. 좁은 내수 시장밖에 가지지 못한 한국 OTT는 결국 콘텐츠에 대규모 투자를 못합니다. 그러면 결국 '콘텐츠 수준 저하-플랫폼 경쟁력 약화'의 악순환에 빠집니다. 현재 하위권에 머무는 아마존프라임, 디즈니플러스 같은 업체가 언제 치고 올라올지 모릅니다.

콘텐츠 유통을 넷플릭스 등 소수 OTT에 의존하면 시간이 흘러 한국 협상력은 약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글로벌 독과점 시장이 된다고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러면 과연 한국 콘텐츠 대접이 지금처럼 흡족할지 의문입니다.

정부는 균형감각을 가져야 합니다. 정부가 주선해 콘텐츠 투자재원을 마련한 것은 잘한 일입니다. 넷플릭스를 만나 한국에 더 많은 투자를 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OTT 플랫폼도 챙겨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정부가 시장에 개입할 수 없다면 최소한 공정하게 경쟁할 환경이라도 만들어줘야 합니다. 한국 업체들만 내는 망 사용료가 대표 사례입니다. 망 사용료는 화질 문제로 이어져 한국 OTT 경쟁력을 더욱 떨어뜨립니다.

OTT는 언젠가 '방송 주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봅니다. 미국에 안방을 내준 영국은 OTT 규제 법안을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가 무슨 콘텐츠를 볼지 스스로 정하지 못하는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OTT를 보는 균형적인 시각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김용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