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비상경영' 카카오, '삼성 스타일' 준법 감시기구 출범...리스크 반복생산 막을까

외부 기구에 준법·윤리 경영 감시 기능 전권 맡겨
그간 누적된 정서적 반감에 최근 불거진 사법리스크로 최대 위기
몸낮춘 김범수 창업자의 해법...리스크 재생산 막을까
서정근 기자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카카오가 대법관 출신 명망가에게 준법·윤리 경영 감시 기구 설립과 운영 전권을 맡기는 체제로 전환했다. 김범수 최대 주주가 현 상황을 최고 비상 경영 단계로 인식하고, 전환점과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내린 조치다.

사내 상설 조직이 아닌 외부 독립 조직에 회사 준법·윤리 감독 기능을 맡긴 것으로 이재용 체제의 삼성이 지난 2020년 설립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를 연상케 한다는 평가다.

카카오 공동체의 사업 활동 각 영역에서 불거진 논란과 공동체 내부 모럴 해저드로 인해 위기가 심화된 것이 이같은 체제를 구축하게 된 배경이다. 김범수 창업자 본인까지 수사 선상에 오르고 윤석열 대통령이 카카오 그룹 사업 모델 중 일부를 직접 지칭하며 강도높게 질책한 상황인데, 카카오가 향후 사법리스크를 극복하고 이미지 쇄신에 성공할 수 있을지 눈길을 모은다.

카카오가 지난 3일 준법·윤리경영을 감시할 외부 기구인 '준법과 신뢰 위원회' 위원장으로 위촉한 김소영 전 대법관은 서울대학교 법학과 84학번으로, 서울지방법원과 대법원 재판연구관, 법원행정처 심의관, 서울지방법원 부장판사 등을 거쳐 2012년 부터 2018년까지 대법관을 역임한 이다. 퇴임 후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재직 중이다. 여성 법조인 중 탑 클래스에 속하는 이력을 갖춘 인물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위원회를 출범한 후 우선 김소영 전 대법관을 위촉했고, 위원회 멤버 구성은 김소영 초대 위원장에게 전권을 드리게 될 것"이라며 "위원회 멤버를 연내에 확정짓고 연말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위원회는 카카오 관계사의 준법 경영 실태를 세밀하게 점검하고, 사회적 눈높이에 부응하는 경영 시스템을 갖춰 나가는 역할을 맡게 된다. 카카오 관계사의 주요 위험 요인 선정 및 그에 대한 준법감시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단계에서부터 관여하고,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과도한 관계사 상장, 공정거래법 위반, 시장 독과점, 이용자 이익 저해, 최고경영진의 준법 의무 위반에 대한 감시 통제 등을 맡는다.

김범수 창업자가 "지금 카카오는 기존 경영방식으로는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은 상황이라는 위기의식을 갖고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히 빠르게 점검하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경영시스템을 갖출 때까지 뼈를 깎는 노력을 다할 것이다"며 "나부터 위원회 결정을 존중할 것이며, 그렇지 않은 계열사들의 행동이나 사업에 대해선 대주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책임을 묻겠다"고 메시지를 냈다.

외부 독립 위원회에 윤리경영 감시 전권을 내어준 것인데, 이는 그간 각종 논란으로 누적된 이미지 실추와 사법리스크 등이 주된 원인이다. 총수 본인까지 수사 선상에 오른 상황에서 경영진 교체 등 내부 쇄신으로는 돌파구를 열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카카오가 직면한 위기는 최근 SM엔터 인수 과정에서의 시세조종 논란과 관련 수사 본격화로 극대화됐다. 차기 카카오 전문경영인 후보군 중 하나로 거명됐던 배재현 대표가 구속수사를 받고 있고, 김범수 최대주주 또한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카카오모빌리티의 사업모델을 두고 강도높은 질책을 쏟아내기도 했다.

사법리스크 외에도 카카오가 빚었던 골목상권 침해 등 독과점 논란, 계열사 상장과 이후 본사와 각계열사의 주가하락으로 인한 주주들의 불만 등 반감 등도 적지 않은 부담이다. 쪼개기 상장과 각 계열사 임원들의 스톡옵션 매도 등은 적법한 것이나, 증시 침체와 동반해 카카오 계열사에 투자한 절대다수의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투자자들의 반감을 샀던 요인들로 꼽힌다.

카카오의 현행 비즈니스 모델 중 위법한 것은 없으나, 적법성 여부와 무관하게 누적된 정서적 요인들이 그룹 이미지를 실추시키며 위기의 씨앗을 키워왔는데, 최고위 경영진들이 연루된 사법리스크로 위기가 극대화 됐다는 평가다.

수사와 재판을 거치며 당면한 사법리스크를 극복할지, 몸을 낮춘 창업자가 내놓은 윤리경영 체제 구축으로 리스크의 반복·재생산을 막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정근 MTN 머니투데이방송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