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금융연 "기업대출 1900조원 육박…차입금 비중 금융위기 수준"

27일 한국금융연구원 '위기별·산업별 비교 분석을 통한 국내 기업 부채 현황과 시사점'
신용상 선임연구위원 "시스템 리스크 전이 가능성 크지 않아…면밀 모니터링은 필요"
임태성 기자

위기별 기업대출 상환능력 취약기업 차입금 및 부실위험기업 비중 비교./자료=한국금융연구원

국내 금융기관이 취급한 기업대출이 1900조원까지 불어나면서 상환 능력이 취약한 기업의 차입금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7일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위기별·산업별 비교 분석을 통한 국내 기업부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국내 금융기관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889조6000억원으로 팬데믹 이후 분기 평균(전년 동기 대비) 10.8%씩 증가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기업대출 잔액은 1350조5000억원, 비은행권 잔액은 539조1000억원인데 팬데믹 발발 이후 16개 분기 동안 은행권 기업대출은 45.1%(419조6000억원), 비은행권은 94.7%(262조2000억원) 늘어났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54.3%(98조9000억원), 56.5%(564조원) 증가했다. 특히 전체 기업대출 중 중소기업(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85%에 달하는데 중소기업 대출의 경우 고금리 상품인 비은행권으로 집중되는 등 부채의 질이 악화되기도 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팬데믹 이후 생산성이 낮은 부문으로 인식되는 부동산 관련 업종과 팬데믹 피해가 집중된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기업대출이 크게 늘었다. 부동산업과 건설업은 같은 기간 각각 175조7000억원, 44조3000억원 증가했는데 이는 전체 업종 대출 증가의 38.8%에 달한다.

팬데믹 피해가 컸던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대출도 정부 지원의 영향으로 각각 92조7000억원, 27조5000억원 늘었다.

최근 상환능력 취약 기업의 차입금 비중은 1997년 외환위기 때보다 크게 낮은 반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에는 근접하거나 일부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1 미만인 취약 기업의 차입금 비중은 57.4%로 외환위기 당시 고점(67.8%)보다는 낮지만, 금융위기 당시 고점(34.1%)보다는 높았다.

차입금상환배율(총차입금÷상각전영업이익)이 6배를 초과하는 취약 기업의 경우도 차입금 비중이 지난해 6월 말 기준 50.5%를 기록하며 외환위기 고점(62.0%)보다 낮지만, 금융위기 고점(53.3%)에 근접했다.

부채구조 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이 200% 이상인 취약 기업의 차입금 비중은 35.8%(지난해 6월말)로 외환위기 고점(84.3%)보다 크게 낮지만, 금융위기 고점(36.4%)과 비슷했다.

단기 유동성 지표인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이 100% 이하인 기업의 차입금 비중은 51.9%(지난해 6월 말)로 역시 외환위기 고점(58.2%)보다 낮지만, 금융위기 고점(47.7%)을 넘어섰다.

신 선임연구위원은 "한은과 금융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부실 위험기업 비중과 부실 위험기업 차입금 비중이 모두 외환위기,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 낮고 기업 부문 부실 규모도 경제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정도로 크지 않다"고 전했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부동산시장 등 내수시장 침체가 여전히 진행형이라는 측면에서 리스크 평가 지표들의 추가 악화 여부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금융레버리지 동원을 통한 민간의 자원배분이 부가가치 창출과 괴리돼 구조적, 추세적으로 저부가가치·저생산 업종으로의 집중이 심화하고 있는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 부문 부실은 최종적으로 정부 재정 악화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 정책 차원에서 공기업 부채와 금융회사 자산 활용이 과도하지 않도록 하는 자체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태성 MTN 머니투데이방송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