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인하' 언급한 한국은행…물가보다 금융안정에 방점

11일 한국은행 기준금리 3.50% 동결…지난해 1월 이후 12연속
2.4%로 내려온 소비자물가…가계부채, 환율 등은 우려
임태성 기자

11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12차례 연속 동결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4%까지 내려온 가운데, 통화긴축 기조 이후 3여년 만에 '인하' 가 등장하기도 했다.

11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후 결정문을 통해 "향후 통화정책은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와 함께 성장, 금융안정 등 정책 변수들 간의 상충관계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기 등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2021년 8월 기준금리 인상(0.50%→0.75%) 이후 35개월 만에 인하 분위기가 감지됐다.

앞서 한은은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지난해 1월(3.25%→3.50%) 이후 18개월째 연 3.50%에 묶여있다. 이번 기준금리 결정 배경에는 물가 목표치(2%) 도달에 대한 확신과 가계부채 누증, 외환시장 변동성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의 지속 여부를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고 외환시장 변동성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며 동결 취지를 설명했다.

국내 물가는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판단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농산물과 가공식품 가격 오름폭 축소 등으로 2.4%까지 내려왔다. 식료품과 에너지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도 2.2%로 둔화됐으며 앞으로 1년간 소비자가 물가 상승률을 전망한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3.0%으로 낮아졌다.

한은은 "앞으로도 완만한 소비 회복세와 국제유가·농산물 가격의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국내 물가상승률은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초반으로, 연간 상승률은 지난 5월 전망치(2.6%)를 소폭 밑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향후 물가경로는 국제유가와 환율 움직임, 농산물 가격 추이, 공공요금 조정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국내 경제는 수출 개선세와 내수 조정 등 부문간 차별화가 지속되고 성장세도 주춤했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도 점차 회복되면서 완만한 경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성장률은 지난 5월 전망치(2.5%)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성장경로는 정보기술(IT) 경기 확장 속도와 소비 회복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와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봤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와 폭에 대한 기대 변화, 미국·유럽지역의 정치 상황 등에 영향을 받으며 주요국 장기 국채금리가 상당폭 등락했다. 미 달러화도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차별화 영향에 강세를 이어갔다.

한은은 "앞으로 세계 경제와 국제 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과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정도, 중동지역 리스크의 전개상황, 주요국의 정치 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장기 국고채금리가 국내외 통화정책 기조 전환 기대를 선반영하면서 하락한 반면, 원·달러 환율은 엔화·위안화 등 주변국 통화 약세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상승했다. 가계대출은 주택 관련 대출 중심으로 증가했고, 주택가격은 지방에서는 하락세가 이어진 반면 수도권에서는 상승폭이 확대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한 리스크는 잠재해 있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물가 상승률의 목표 수준 안정과 금융안정에 유의하며 인하 시점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한은은 "국내 경제는 성장세가 완만히 개선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면서 목표 수준으로 점차 수렴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물가 경로의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의 지속 여부를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고 외환시장, 수도권 주택가격, 가계부채 등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임태성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