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둑히 포상받은 '블아' 개발주역들,'제2 매드앤진' 성공 스토리 쓸까
'스타개발자' 김인 전 아트디렉터, 상반기 수령금 박용현 대표보다 많아디나미스원 설립 후 행보 이목 모아
서정근 기자
넥슨게임즈에서 '블루아카이브' 개발 중추를 맡다 퇴직한 스타개발자들이 박용현 대표와 김용하 총괄 프로듀서보다 많은 보수를 상반기에 지급받았다. 신설법인 디나미스원을 설립한 이들은 프로토 타입을 완성해 여름 중 시리즈A 투자 유치를 마친다는 구상이다.
'블루아카이브'가 개발 리더들의 공백을 메우고 다시 순항할지, 신설법인 디나미스원을 설립한 이들이 앞서 넥슨게임즈를 떠나 매드엔진을 설립한 이들 처럼 성공가도를 달릴 수 있을지 눈길을 모은다.
14일 넥슨게임즈에 따르면 최근 퇴사한 김인 전 블루아카이브 AD는 상반기 중 급여와 상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기타 근로소득을 합산해 총 8억6778만원을 수령했다. 양주영 시나리오 디렉터는 총 7억9902만원을 수령했다.
김인 전 AD와 양주영 전 디렉터의 상반기 보수 수령액은 김용하 총괄 디렉터(6억4900만원)는 물론 박용현 대표(7억155만원)보다 많다.
박용현 대표의 연봉은 4억원, 김용하 디렉터의 연봉은 2억3110만원으로 각각 책정되어 있다. 김인 전 AD와 양주영 전 디렉터의 연봉은 동일하게 1억640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이들의 상반기 보수는 연봉의 절반과 상여금 등을 더해 책정된 것이다.
회사를 떠난 두 리더들의 상반기 보수 수령액이 박 대표와 김 디렉터의 그것을 넘어선 것은 이들이 받은 상여금 규모 때문이다. 김 전 AD가 상여 7억6000만원을, 양 전 디렉터가 6억9385만원을 각각 받았다. 박용현 대표가 받은 상여금은 5억원, 김용하 디렉터의 상여금 수령액은 5억267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넥슨게임즈 직원(미등기임원 포함)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연말기준 9352만원에 달한다. 올해 급여도 지난해와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일 것으로 점쳐진다. 박용현 대표의 지난해 총 보수 수령액은 9억원, 김용하 디렉터는 8억2140만원이었다. 두 사람의 상반기 수령액에 상여금이 포함된 것을 감안하면 두 사람의 올해 수령액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전망이다.
김인 전 AD와 양주영 전 디렉터는 앞서 퇴사한 박병림 전 넥슨게임즈 PD가 설립한 디나미스원에 합류해 있다. 박병림 PD는 '블루아카이브' 일본 서비스를 총괄하다 이 게임의 PD로 선임되어 활동했다.
박 PD가 4월 중 퇴사해 디나미스원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앤젤투자를 유치했고, 김 전 AD와 양 전 디렉터는 6월말을 기해 퇴사절차를 마무리했다. 이 과정에서 '블루 아카이브' 제작진 일부가 이들을 따라 디나미스원에 합류했다. 이들 중 일부는 "'블루 아카이브' 개발 주역들이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다"며 퇴사자를 규합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AD와 양 전 디렉터가 수령했던 보상액 규모는 스타개발자인 이들의 지명도와 공헌에 걸맞는지는 관점에 따라 평가가 다를법하다.
김택진 대표와 김택헌 전 수석부사장이 엔씨의 주요 프로젝트 결제라인에 이름을 올리고, 두둑한 성공포상을 받은 것과 비교하면, 박용현 대표와 김용하 디렉터가 받은 보상은 소박하다는 평도 나온다.
'블루아카이브' 개발진 내 보상액 분배가 어찌되었을지는 알 수 없으나, 개발주역들이 합당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단정하긴 어렵다는 평가다.
넥슨게임즈 직원들 중 적지 않은 이들이 "대표보다 더 많이 보상 받았으면서 보상금이 적다고 직원들을 선동해 회사를 나가는게 말이 되느냐"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넥슨게임즈를 떠난 박병림·임종규·김인·양주영 등 핵심 개발진들은 설립 초기 당시 3개월 정도 운영이 가능할 수준의 자금을 엔젤투자를 통해 충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여름 중 프로토타입을 완성해 전략적 투자자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당초 계획보단 프로토 타입 개발 진척도가 더딘 것으로 전해졌다.
넥슨게임즈가 퇴사자를 최소하하기 위해 적극 방어에 나섰고, 디나미스원은 당초 계획보다 프로그래머 인력 수급에 고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넥슨게임즈를 떠난 이정욱·손면석 등 'V4' 개발주역들은 매드엔진을 설립해 '나이트크로우'를 제작했다. 위메이드를 통해 서비스한 '나이트크로우'가 빅히트하면서, 이들은 위메이드 그룹의 개발 에이스로 자리잡았다.
디나미스원의 잠재적 투자자 후보군으로 거명되는 이들이 아직까진 최종 결정을 미루고 있는데, 어떠한 결과를 낼지 이목을 모은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블루아카이브'가 개발 리더들의 공백을 메우고 다시 순항할지, 신설법인 디나미스원을 설립한 이들이 앞서 넥슨게임즈를 떠나 매드엔진을 설립한 이들 처럼 성공가도를 달릴 수 있을지 눈길을 모은다.
넥슨게임즈에 재직하던 당시의 김인 '블루아카이브' 아트디렉터 |
14일 넥슨게임즈에 따르면 최근 퇴사한 김인 전 블루아카이브 AD는 상반기 중 급여와 상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기타 근로소득을 합산해 총 8억6778만원을 수령했다. 양주영 시나리오 디렉터는 총 7억9902만원을 수령했다.
김인 전 AD와 양주영 전 디렉터의 상반기 보수 수령액은 김용하 총괄 디렉터(6억4900만원)는 물론 박용현 대표(7억155만원)보다 많다.
박용현 대표의 연봉은 4억원, 김용하 디렉터의 연봉은 2억3110만원으로 각각 책정되어 있다. 김인 전 AD와 양주영 전 디렉터의 연봉은 동일하게 1억640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이들의 상반기 보수는 연봉의 절반과 상여금 등을 더해 책정된 것이다.
회사를 떠난 두 리더들의 상반기 보수 수령액이 박 대표와 김 디렉터의 그것을 넘어선 것은 이들이 받은 상여금 규모 때문이다. 김 전 AD가 상여 7억6000만원을, 양 전 디렉터가 6억9385만원을 각각 받았다. 박용현 대표가 받은 상여금은 5억원, 김용하 디렉터의 상여금 수령액은 5억267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넥슨게임즈 직원(미등기임원 포함)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연말기준 9352만원에 달한다. 올해 급여도 지난해와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일 것으로 점쳐진다. 박용현 대표의 지난해 총 보수 수령액은 9억원, 김용하 디렉터는 8억2140만원이었다. 두 사람의 상반기 수령액에 상여금이 포함된 것을 감안하면 두 사람의 올해 수령액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전망이다.
김인 전 AD와 양주영 전 디렉터는 앞서 퇴사한 박병림 전 넥슨게임즈 PD가 설립한 디나미스원에 합류해 있다. 박병림 PD는 '블루아카이브' 일본 서비스를 총괄하다 이 게임의 PD로 선임되어 활동했다.
박 PD가 4월 중 퇴사해 디나미스원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앤젤투자를 유치했고, 김 전 AD와 양 전 디렉터는 6월말을 기해 퇴사절차를 마무리했다. 이 과정에서 '블루 아카이브' 제작진 일부가 이들을 따라 디나미스원에 합류했다. 이들 중 일부는 "'블루 아카이브' 개발 주역들이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다"며 퇴사자를 규합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AD와 양 전 디렉터가 수령했던 보상액 규모는 스타개발자인 이들의 지명도와 공헌에 걸맞는지는 관점에 따라 평가가 다를법하다.
김택진 대표와 김택헌 전 수석부사장이 엔씨의 주요 프로젝트 결제라인에 이름을 올리고, 두둑한 성공포상을 받은 것과 비교하면, 박용현 대표와 김용하 디렉터가 받은 보상은 소박하다는 평도 나온다.
'블루아카이브' 개발진 내 보상액 분배가 어찌되었을지는 알 수 없으나, 개발주역들이 합당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단정하긴 어렵다는 평가다.
넥슨게임즈 직원들 중 적지 않은 이들이 "대표보다 더 많이 보상 받았으면서 보상금이 적다고 직원들을 선동해 회사를 나가는게 말이 되느냐"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넥슨게임즈를 떠난 박병림·임종규·김인·양주영 등 핵심 개발진들은 설립 초기 당시 3개월 정도 운영이 가능할 수준의 자금을 엔젤투자를 통해 충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여름 중 프로토타입을 완성해 전략적 투자자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당초 계획보단 프로토 타입 개발 진척도가 더딘 것으로 전해졌다.
넥슨게임즈가 퇴사자를 최소하하기 위해 적극 방어에 나섰고, 디나미스원은 당초 계획보다 프로그래머 인력 수급에 고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넥슨게임즈를 떠난 이정욱·손면석 등 'V4' 개발주역들은 매드엔진을 설립해 '나이트크로우'를 제작했다. 위메이드를 통해 서비스한 '나이트크로우'가 빅히트하면서, 이들은 위메이드 그룹의 개발 에이스로 자리잡았다.
디나미스원의 잠재적 투자자 후보군으로 거명되는 이들이 아직까진 최종 결정을 미루고 있는데, 어떠한 결과를 낼지 이목을 모은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