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인재 인센티브 시급하다는데…사이버 보안 10만 양성 문제없나
김경문 기자
[앵커멘트]
사이버 공격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보안 인력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10만' 사이버 보안 인재 양성론을 띄우며 인력 충원 의지를 강하게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세제혜택이나 성과급 등 인센티브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아 보안 인재 10만 양성이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경문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K-쉴드 프로그램이 한창 진행 중인 교육장.
첨단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춘 이곳에서 보안기업 재직자들이 해킹 사고를 가정한 실전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재직자에겐 교육비가 무료이고, 교육 과정도 세분화 돼 맞춤 진행됩니다.
[김성현 SAS 대표 : 현업에 종사하고 있기 때문에 최신 해킹 트렌드의 공격 기법을 매년 연구하고 이를 강의에 반영할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전환이 전 산업에 확대되면서 보안 수요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오는 2026년까지 10만 사이버 보안 인재를 목표로 인프라 지원, 교육 기회 확대, 해외 판로 개척 등에 1조1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관련 예산 20%를 증액 편성해, 신규 인력 4만명 추가 양성과 재직자 6만명에 대한 역량 강화 교육을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그런데 정작 현장에선 이를 소화할 인력이 없다는 하소연이 나옵니다.
보안 전문가가 되기 위해 들인 시간과 노력만큼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한다는 이유에섭니다.
국내 보안기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기업들의 72%가 '기술개발인력 확보 및 유지'를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습니다.
자금조달은 61%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설문에 참여한 전체 2만여명의 종사자 중 11년 이상 보안업계에 종사한 인력도 20%를 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원인으론 중소·중견 기업 비중이 90%에 달하는 보안업계의 구조적 한계가 지목됩니다.
이에 기업 채용까지 이어질 수 있는 정부의 추가적인 인센티브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 (채용 시) 여러가지 인센티브에서 예를 들면 세제 혜택이라든지 아니면 채용에 따른 비례한 성과급을 준다든지 하는…]
10만 사이버 보안 인재 양성 계획이 공염불에 그치지 않도록 정부의 촘촘한 지원책이 필요한 때입니다.
김경문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