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스마트 홍수예측, 수도 통합관리…환경부, 2022년 물관리 비전 발표

환경부, 2022년 통합물관리 정책 발표
2025년까지 스마트 수도 관리 체계 구축
초순수 생산 기반 국산화…경제 가치 창출
천재상 기자

이영기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사진=환경부)


환경부가 앞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해 홍수를 예측하고, 하수도 관리체계를 구축해 물 이용 전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등의 ‘통합물관리 비전’을 제시했다.

환경부는 2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 하천관리 일원화 이후 물관리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이수·치수·환경 전 분야에 접목해 물관리 정책을 통합할 계획이다.

2025년부터 홍수 예보에 AI를 활용하고 2027년까지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유역의 댐과 하천 정보를 디지털로 구현하는 디지털트윈을 구축한다.

2023년까지는 73개 국가하천의 3600km 구간을 대상으로 2820곳에 CCTV를 설치해 하천 상황을 관리한다.

올해 말까지는 하천 배수시설 1982곳에 물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원격 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아울러 취수장과 정수장, 하·폐수처리장뿐만 아니라 각 시설의 말단 관망까지 물 수량과 수질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한다.

내년까지 전국 161개 지방자치단체와 31개 광역 취수장, 43개 광역 정수장을 대상으로 스마트 상수도 관리 체계를 구축해 실시간으로 수량·수질을 관리한다.

스마트 하수도 관리체계를 2024년까지 공공하수처리시설 14개와 소규모하수처리장 618개를 대상으로 확대한다.

또 올해부터 하천법 등 관련 법령을 개선해 수량·수질·수생태가 어우러진 하천 관리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2025년까지 국가하천의 치수안정도를 2020년기준 79.8%에서 90%이상으로 올린다.

하천의 연속성을 회복하기 위해 낙동강 하굿둑 개방 성과를 확대하고 기수역의 수생태계 복원을 본격 추진한다.

합천댐의 모범 사례를 바탕으로 ‘댐 내 수상광태양광’ 사업을 2040년까지 환경부 소관 전체 댐으로 확대한다.

소양강담 인근에 사업비 3040억원을 들여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를 2027년까지 조성한다.

또 가축분뇨와 하수찌꺼기·음식물쓰레기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2030년까지 확대하고 법적 기반을 마련한다.

환경부는 반도체 산업의 필수 요소인 초순수 생산 기반을 국산화할 방침이다.

2025년까지 반도체용 초순수 생산 기술의 100% 국산화를 추진한다.

관련 공정 운영 기술·문제해결 역량을 쌓은 270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하루 5만톤의 초순수를 생산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공급한다.

환경부는 또 초순수 단위공정 기술개발과 성능시험장을 구축해 물 분야 소재·부품·장비 시장을 개척하는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재해 예방부터 물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이르기까지 미래 세대를 준비하는 새로운 물 가치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