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네이버 댓글 과열 방지 '쿨다운' 반년...규제입법·서비스 위축 막았다

서정근 기자

네이버가 댓글 관련 부작용을 완화하는 '쿨다운' 장치를 마련한 후 전체 댓글 작성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댓글 작성자 수는 소폭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네이버는 상반기 중 ▲ 연예뉴스 댓글 폐지 ▲개별 이용자 댓글 닉네임과 활동이력 공개 ▲특정인 댓글 차단 기능 도입 ▲ 선거중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 중단 ▲ 댓글 본인확인제 적용 ▲ AI 클린봇 업그레이드 등을 진행한 바 있다.

댓글 조작과 악플 등이 논란이 되자 드루킹 방지법(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도입과 댓글 실명제 도입 등 규제 도입 움직임이 급물살을 탔고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 폐지 요구도 높아진 바 있다.

실급검과 연예뉴스 댓글 등 논란과 사고 위험이 집중되는 영역에서 과열과 부작용을 막는 '쿨다운' 정책을 펴고 규제도입도 막아냈는데, 네이버는 "우려했던 이용자 활동 축소 등 부작용은 없었다"고 자평하고 있다.

21일 네이버에 따르면 지난 6월 네이버의 각종 뉴스에 달린 댓글수는 지난 1월보다 0.7% 감소하고, 작성자 수는 8% 늘었다. 같은 기간 중 작성자가 직접 삭제한 댓글 수는 20.8% 감소하고 1인당 댓글 작성 빈도는 8% 줄었다.

같은 기간 중 악성 댓글 등으로 규정을 위반해 삭제되는 건수는 63.3% 감소했고 비공감 클릭은 21.5%, 신고는 53.6% 감소했다.

일부 유명 연예인들이 자살로 목숨을 끊는 일이 생기자 네이버는 연예뉴스 댓글을 폐지하고 댓글을 다는 개별 이용자의 아이디 정보 일부와 닉네임, 활동이력을 공개한 바 있다. 개별 이용자의 아이디 앞자리 4자리와 닉네임을 공개하고 해당 이용자가 받았던 공감률, 댓글을 달고 이를 지운 삭제율까지 공개했다.

일상적인 댓글 활동을 하는 이용자인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댓글을 달거나 이용자들간의 불화를 야기하는 악성 이용자인지 드러나게 한 것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개별 이용자가 그간 어떤 댓글을 달았는지 이력을 공개한 것이 악성 댓글 작성 감소에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며 "전체 댓글수가 크게 줄지 않은 상태에서 댓글 이용 참여자가 증가한 것은 서비스가 위축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밝혔다.

4월 총선 선거운동 기간 중 검색창에서 인물명을 검색할 때 연관검색어가 드러나지 않게 했고, 한시적으로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 제공을 중단했다. 선거기간 중 본인확인 절차를 거친 이용자에 한해 댓글을 작성하게 했다.

연예뉴스 댓글 폐지는 카카오가 먼저 진행한 후 네이버가 뒤따른 경우다. '잠정 폐지'였다고는 하나 이변이 없는 한 연예뉴스에 댓글이 복원될 가능성은 희빅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선거기간 중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 댓글을 달 수 있게 한 조치는 선거가 끝난후 계속 적용되고 있다. 한시적으로 폐지됐던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는 다시 복원됐으나, 개별 이용자가 설정을 해야 노출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20대 국회 중 입법 성사 가능성이 높았던 드루킹 방지법을 저지하는데 성공했고, 댓글 실명제 도입이나 실급검 폐지 요구도 '서비스 자정'을 통해 무마하는데 성공했다는 평이다.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두 차례 대선에서 여야 양진영이 한 차례씩 연루되는 댓글 조작 정황이 드러러났는데, 양대 정파의 명운을 가른 이벤트에서 이같은 일이 벌어진 만큼 규제입법 논의가 불가피하게 따를 수 밖에 없었다"며 "이같은 어뷰징에 네이버의 책임이 없다는 점을 부각, 규제 입법 리스크를 피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 관계자는 "네이버는 댓글과 실급검 등 서비스 골자는 유지하고 논란과 과열을 방지하는 선에서 매듭지으며 '선방'한 셈"이라고 덧붙였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