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탄소세와 기업 패러다임] '탄소 중립' 대응…기업 '글로벌 경쟁력' 가른다

MTN, ESG 경제포럼 웨비나 개최
유럽 '탄소국경정책' 시행 예고…'탄소 중립' 중요성 ↑
정부 "적극적 대응"…금융·산업계도 '활로 찾기' 나서
조형근 기자

thumbnailstart


앵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를 고려한 ESG가 전세계 시장에서 주류로 자리잡으면서, 여기에 미리 대비하지 않은 기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힘든 상황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자금 조달 뿐만 아니라 매출 등 기업 경영에서도 ESG가 중요한 요소로 떠오른 건데요. 머니투데이방송(MTN)에서는 'ESG 경제포럼'을 통해 전세계 ESG 트랜드 변화와 기업의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관련 내용을 증권부 조형근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조 기자, 기업 평가에 있어서 ESG가 새로운 평가 요소로 떠오르고 있지 않습니까? 우선 세계의 ESG 트랜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기자)
네 말씀하신대로 각국 정부는 물론 글로벌 투자 기관, 소비자까지 ESG를 기업 평가의 중요 지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기업의 ESG를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탄소배출량' 같이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 뿐만 아니라, '경영 투명성' 같은 정성적인 부분도 ESG에서 중요한 요소인데요.

이러한 정성적인 부분을 데이터화 해서 투자 지표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지수 산출 기관인 S&P는 어떻게 '정성적'인 부분을 평가하고 있는지 들어보시죠.

[버트랑 자블리 S&P 글로벌 아태지역 지속가능총괄 : S&P Global의 특별한 평가 요소라고 생각하는데, 저희는 그것을 '준비성'이라고 부릅니다. 다양하고 장기적인 혼란을 사전에 예측하고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죠. 준비성은 훨씬 더 미래지향적이고 정성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미리 준비하는 조직의 역량이 그들의 장기적인 생존 능력을 뒷받침한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ESG 중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을 꼽아보라고 한다면 환경(E) 부분일 텐데요. 전세계 정부도 환경과 관련된 규제를 도입하고 있는 상황이죠?


기자)
네 각국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부 차원에서 제한하는 등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특히 일부 국가는 탄소 비용을 반영해 수입 상품의 가격을 조정하는 '탄소국경조정' 정책을 시행하고 나섰는데요.

특히 유럽연합은 탄소국경조정매커니즘(CBAM)을 통해 일부 분야(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력)의 수입업자에게 인증서(CBAM Certificate) 구매 의무를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탄소국경조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수출 중심인 우리나라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정부도 대응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 중인 탄소배출권거래제(ETS)를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인데요.

포럼에 참석한 이병화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탄소배출권거래제(ETS) 시행국에 탄소국경조정 의무를 감면할 경우 미시행 국가와의 수출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며 "기후대응기금을 신설해 기업이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설비투자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탄소 중립'에 대한 정부 차원에서의 대응 말고, 기업 차원에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기자)
정부는 물론 국부 펀드 등 기관 투자가들도 ESG를 투자 지표로 활용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온실 가스를 줄이는 게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는데요.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투자 기업이나 프로젝트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이는 데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탄소 배출이 큰 기업의 비중을 줄이거나 저탄소 설비 투자를 늘린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산업계는 정부와 금융사, 소비자의 요구에 직면했다는 점에서 '탄소 중립' 대응이 더 시급한 상황입니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자체 배출량은 물론 협력사나 제품 이용단계에서 배출되는 탄소도 줄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요.

또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공정 자체를 전환하는 설비 투자도 요구되고 있습니다.

앵커)
각국 정부가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있는 현 상황이 기업 입장에서는 위기로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이 상황을 오히려 새로운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기자)
실제로 일부 기업은 '온실가스 감축'을 단순히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업 기회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을 출시하거나 신재생에너지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요.

최근엔 'CCUS'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CCUS는 탄소를 저장해 다른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기업 입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읍니다.

관련 내용에 대해 전문가의 설명을 들어보겠습니다.

[이옥수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사 : (CCUS는) 단순한 규제 대응이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연결이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저탄소 설비투자는 순수하게 비용 관점에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데, 만약 기업이 배출하는 탄소를 소집해서 이를 활용한 수소 에너지로의 전환 등에 활용할 수 있다면 탄소라는 것이 규제 대상, 우리가 피해야 할 수단이 아니라 새로운 에너지원의 일부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앵커)
네, 빠르게 변화하는 ESG 트랜드에 맞춰 우리 정부와 기업도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게 움직여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조형근 기자 잘 들었습니다.



조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