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N NEWS
 

최신뉴스

이현준 시멘트협회장 "자원순환 선도하는 '친환경 시멘트산업' 거듭날 것"

-30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제2회 시멘트의 날' 기념식 열어
신아름 기자

(앞줄 맨 왼쪽부터) 한인호 성신양회 대표, 임경태 아세아·한라시멘트 대표, 배조웅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장, 전근식 한일·한일현대시멘트 대표,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 이현준 한국시멘트협회장(현 쌍용C&E 대표),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 이종석 삼표시멘트 대표, 양기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공급망정책관, 이우선 유니온 대표, 박정훈 동국대 교수, (뒷줄 맨 왼쪽부터) 이창기 한국시멘트협회 부회장, 배성철 한양대 교수, 김동일 일반건강진단기관협희회장, 김병국 한국세라믹학회장, 정연길 한국세라믹기술원장, 진준형 한국C&T 대표, 김상철 한서대 교수, 김진만 공주대 교수, 한상태 한국고로슬래그미분말협회장, 김진효 변호사/사진제공=한국시멘트협회

대내외 현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멘트업계가 한자리에 모여 심기일전의 시간을 가졌다. 상반기 수급 불안, 원가부담 및 환경투자비용 상승으로 인한 비상경영 체제 아래 시멘트의 날을 맞아 업계 발전에 공헌한 시멘트산업 종사자들의 업적을 치하하고 사기 진작을 통해 위기 극복의 의지를 다졌다.

한국시멘트협회는 30일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 1층 그랜드볼룸에서 제2회 시멘트의 날 기념식을 열었다.

기념식에는 시멘트업계 대표이사 등 업계 임직원을 비롯해 국회의원(국민의힘 이철규·유상범), 양기욱 국장(산업통상자원부 산업공급망정책관) 등 정관계 인사와 배조웅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회장 등 관련 업종 단체장을 포함해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

시멘트의 날은 기간산업으로서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등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한 시멘트산업을 기념하고 임직원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한국시멘트협회 창립 발기일인 7월 1일을 따서 제정했다.

제2회 시멘트의 날 기념식은 공동 선언문 낭독에 이어 시멘트업계 대표이사의 선언문 서명이 진행됐다. 서명 후 이철규(강원 동해·삼척·태백·정선),·유상범(강원 홍천·횡성·영월·평창) 국민의힘 의원의 축사, 이안(IAN) 세계시멘트협회 회장은 영상 축사가 이어졌다. 또 시멘트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를 대상으로 국무총리표창(1명),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8명) 등 정부 포상이 있었으며 이외에 한국시멘트협회장, 한국콘크리트학회장, 한국세라믹학회장 표창이 뒤를 이었다.

이철규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축사에서 "대한민국은 고품질의 저렴한 가격의 시멘트를 생산공급으로 압축성장이 가능했으며 시멘트와 끊을 수 없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며 "국내 시멘트가격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데 이는 생산성 향상과 기술혁신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경이로운 업계의 노력으로 외부불경제도 해소되고 있으며 주변 지역 주민과 상생하기 위해 만든 지역관리기금이 새로운 모델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유상범 의원 역시 "시멘트산업이 대한민국 발전에 크게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적으로 평가는 낮았다고 본다"며 "ESG경영이 모든 산업 생존의 근본이 되가는 현실을 감안해 탄소중립 등 환경문제 해결이 시멘트업계의 영속과 연결된 만큼 시멘트산업이 탄소중립시대에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산업으로 거듭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현준 한국시멘트협회 회장은 "시멘트업계는 어려운 경영 여건 속에서도 환경개선과 순환자원 재활용 확대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해왔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완수를 위해 다양한 노력도 함께 전개하고 있다"며 "오는 2030년 400만톤, 2050년 1400만톤 등 총 1800만톤의 온실가스를 추가 감축해야 하지만 공정배출의 비중이 높은 시멘트산업 특성을 감안하면 매우 도전적인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탄소중립과 환경경영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발전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당부하고 "탄소감축을 위한 기술적 토대를 마련하고 자원 재활용을 더욱 확대해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선도하는 친환경 시멘트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아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머니투데이방송의 기사에 대해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하실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고충처리인 : 콘텐츠총괄부장 ombudsman@mtn.co.kr 02)2077-6288

MTN 기자실

경제전문 기자들의 취재파일
전체보기

    Pick 튜브

    기사보다 더 깊은 이야기
    전체보기

    엔터코노미

    more

      많이본뉴스